•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6월 전국 땅값 0.10% 상승

국토해양부는 ''12.6월 전국 지가가 전월 대비 0.10% 상승하였다고 밝혔다. 한편 토지거래량총 162,801필지, 173,967천㎡전년 동월 대비필지수와 면적 기준으각 17.2%, 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3년간 동월 평균 토지거래량(188천필지)대비 13.4% 감소하였으며, 전월 대비 필지수 기준 12.3% 감소, 면적 기준 0.03% 증가하였다.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75,492필지, 164,808천㎡로서 전년 동월 대비 필지수 기준 10.6% 감소, 면적 기준 5.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0.06%, 인천 0.05%, 경기 0.11%이며, 지방0.09~0.1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군․구별로는 충남 연기군, 경기 하남시, 전남 여수시, 강원 춘천 등의 순으로 지가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률 상위 5개 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

변 동 사 유

1

충청남도 연기군*

0.556

행정중심복합도시 접근성 개선(세종로 개통)및 정부청사 1단계 1구역 완공등이 지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세종시 내 도시 기반시설의 조성에 따른 지가수준은 상승

2

경기도 하남시

0.376

미사지구의 보상평가 완료 후 보금자리 주택개발 진행, 감일지구 지구계획승인고시, 감북동 제4차 보금자리주택지구지정, 신장동 복합쇼핑센터의 본격 개발 등 개발사업 영향

3

전라남도 여수시

0.296

여수세계박람회 개최에 따른 주변지역의 지가상승과 경도특구개발사업, 해양경찰학교 건립사업으로 지가수준은 상승

4

강원도 춘천시

0.232

서울 춘천간고속도로 및 ITX 열차개통(‘12.2) 영향으로 수도권과 접근성이 개선되어 관광수요 증가 등 지가수준은 꾸준히 상승

5

대구광역시 동구

0.224

혁신도시, 이시아폴리스 등 개발사업,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발협약체결에 따른 기대감

용도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은 상업지역(0.12%), 녹지지역(0.11%), 비도지역은 계획관리지역(0.16%), 생산관리지역(0.14%)등 전체적으로 전월과 유사하며, 이용상황별로는 전(0.17%), 답(0.13%), 공장(0.13%), 상업용(0.12%), 주거용(0.06%) 등 전월과 비슷한 수준의 상승폭을 나타냈다.

’12. 6월 토지거래량총 162,801필지, 173,967천㎡로서 전년 동월 비교하여 ① 필지수 17.2% 감소,면적 6.6% 감소하였으며, 최근 3년간 동월 평균거래량(188천필지)보다 13.4% 감소한 수준이다.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75,492필지, 164,808천로서 전체 거래량 중 필지수 기준 46.4%, 면적 기준 94.7%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동월 비교하여 ① 필지수 10.6% 감소,면적 5.6% 감소, 최근 3년간 동월 평균거래량(82천필지)보다 8.2% 감소한 수준이다.

용도지역별로는 용도미지정(46.0%) 거래량은 증가하였고, 주거지역(23.4%), 자연환경보전지역(22.4%), 농림지역(18.2%) 등의 거래량은 감소하였다. 이용상황(지목)별로는 공장용지(6.9%)는 5개월 연속 거래량이 증하였고 임야(23.7%)와 대지(19.9%)는 거래량이 감소하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