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


“한빛 1호기 원자로 수동정지, 시동 꺼진 것으로 ‘착각’한 탓”

이철희 의원, 한수원 자체조사결과 보고 문건 공개
제어봉 인출 전 반응도 계산, 원자로 ‘미임계’ 상태로 착각

 

지난달 10일 한빛 1호 원자로 이상 출력 및 수동정지 사건 당시 발전소 근무자들이 원자로 ‘시동’이 꺼진 것으로 착각한 채 반응도 계산을 수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원자로 출력과 기동률조차 살피지 않는 등 심각한 기강 해이를 보였다.

 

이철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한빛 1호기 원자로 수동정지 원인 및 재발방지대책 보고’ 문건을 공개했다.

 

해당 문건은 한국수력원자력 발전처가 지난달 15일 작성한 것으로,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자체조사 결과다.

 

문건은 한수원이 자체조사를 통해 파악한 사건 경위, 원인분석, 재발방지대책 등을 정리했는데, 특히 원인분석에서 사건 당시 한수원의 과실이 자세하게 기록돼 있었다.

 

이 의원은 “해당 문건이 작성된 시점은 지난달 15일로, 이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특별조사가 시작(5월20일)되기 전에 한수원 스스로 사건의 심각성과 기강 해이를 인지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문건에 따르면 당시 근무조는 제어봉 인출 전 반응도 계산을 수행하면서 원자로 상태가 미임계인 것으로 ‘착각’했다. 상황 자체를 잘못 인지했다는 것이다.

 

 

제어봉을 인출하면 원자로 출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원자로 반응을 사전에 계산해야 한다. 이 계산은 난도가 높지 않은 작업이어서 당시의 계산 실수는 상식 밖의 일로 지적돼왔다.

 

이들은 제어봉을 인출하면서 디지털제어봉위치지시기(DRPI)와 스텝 계수기, 냉각제 온도만 살피고, 원자로 출력과 기동률 지시기를 감시하지 않았다.

 

또한 설비 이상 발생 시 점검을 위한 통지 및 작업 오더를 발행하지 않는 등 절차서를 위반하기도 했다.

 

문건은 ‘휴먼 에러’ 외에 설비 이상 가능성도 제기했다. 사건 당일 원자로의 브레이크에 해당하다는 제어봉이 장애를 일으켰다는 것이다.

 

한수원이 제시한 재발방지대책은 제어봉 구동장치에 대한 대대적 점검이었다. 원자로 상부 구조물을 분해한 채 구동장치 52개를 모두 들여다보겠다는 계획이다.

 

 

이 의원은 “한수원 스스로 한빛 1호기 제어봉 결합 가능성을 심각하게 보고있다는 뜻”이라며 “제어봉 자체에 중대 결함이 있다면 이번 사건은 관계자 문책과 기강 정립 정도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수명을 불과 6년 남겨둔 한빛 1호기는 전면적인 설비 점검에 따른 가동 중단 장기화가 불가피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한빛 1호기 사고는 한수원의 안전불감과 기강해이가 불러온 상식 밖의 사고”라면서 “철저한 원인 규명과 함께 원자로 운영 시스템과 설비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