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경제


한경연 “한·일 휴가철 관광교류 위축으로 양국 경제 모두 위축”

생산유발효과:韓 399억원 감소 vs 日 3,537억원 감소(韓의 약 9배)
부가가치유발효과:韓 54억원 감소 vs 日 1,784억원 감소(韓의 약 33배)
취업유발효과:韓 272명 증가 vs 日 2,589명 감소
“방한 일본인 수 감소세로 전환되면 국내 경기에 피해 확대될 것”

 

올해 여름 휴가기간인 7~8월 중 일본을 찾는 한국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일본경제에 상당한 악영향이 초래됐고, 한국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6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양국간 방문 여행객 수 및 여행 항목별 지출액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업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2019년 7~8월 중 방일 한국인 감소에 따른 일본의 생산유발 감소액은 3,537억원, 부가가치유발 감소액은 1,784억원, 취업유발 감소인원을 2,589명에 달했다.

 

한국 역시 방한 일본인이 증가하기는 했지만, 방일 한국인 급감에 따른 국내 항공운송 관련 산업에 대한 부정적 영향으로 생산유발액이 399억원 감소했고, 부가가치유발액도 54억원 줄었다. 다만, 취업유발 인원은 272명 증가했다.

 

한국관광공사와 일본정부관광국에 따르면 2018년 여름 휴가철인 7~8월 중 방일 한국인 수는 87만4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7.6%(33만1,494명) 감소했고, 같은 기간 방한 일본인 수는 지난해보다 10.8%(5만8,945명) 늘어난 60만4,482명이었다.

 

 

한국의 경우 올해 7~8월 중 양국 관광객의 여행 지출로 인한 생산유발액은 1조1,49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1,898억원보다 399억원 감소했다.

 

방한 일본인 관광객 증가로 도·소매, 숙박, 음식 등과 관련한 산업 생산은 증가했지만, 방일 한국인 관광객의 급감으로 국내 항공운송서비스의 생산유발액은 크게 줄었다.

 

주요 부문별 전년동기대비 생산유발액 증감은 ▲도·소매·상품중개서비스 195억원 ▲숙박서비스 182억원 ▲음식점·주점 117억원 항공운송서비스 –995억원이었다.

 

일본의 생산유발액 감소폭은 한국의 약 9배에 달했다.

 

7~8월 중 관광객의 여행지출로 인한 일본의 생산유발액은 전년동기(1조3,186억원) 대비 3,537억원 줄어든 9,649억원에 그쳤다.

 

주요 부문별 전년동기대비 생산유발액 감소폭은 ▲숙박업 –1,188억원 ▲음식서비스 –1,019억원 ▲소매 –771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부가가치유발액 역시 양국에서 감소했다.

 

한국의 경우 양국 관광객의 여행지출로 인한 부가가치유발액은 4,590억원으로 지난해 7~8월 4,644억원보다 54억원 줄었다.

 

주요 부문별로는 ▲도·소매·상품중개서비스 96억원 ▲숙박서비스 89억원 ▲음식점 및 주점 43억원 ▲항공운송서비스 –328억원이었다.

 

일본의 부가가치유발액은 4,773억원으로, 같은 기간 6,557억원 대비 1,784억원 줄어든 규모다.

 

주요 부문별 전년동기대비 부가가치유발액 감소폭은 ▲숙박업 –532억원 ▲소매 –481억원 ▲음식서비스 –462억원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취업유발인원은 지난해 대비 272명 증가한 6,748명이었다.

 

주요 부문별 취업유발인원 증감은 ▲도·소매·상품중개서비스업 194명 ▲숙박서비스 140명 ▲음식점 및 주점 113명 ▲항공운송서비스 –253명 등이다.

 

일본의 취업유발인원은 ▲소매 –890명 ▲음식서비스 –887명 ▲숙박업 –588명 등 지난해 9,890명보다 2,589명 줄어든 7,301명으로 집계됐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올해 7~8월 중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 수가 늘었음에도 생산유발액과 부가가치유발액이 감소한 것은 우리 항공산업의 피해 때문”이라며 “양국 관계악화가 지속돼 방한 일본인 관광객마저 줄어든다면 국내 경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