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희망 설 상여금 평균 94만원

절반 이상 “설 상여금 만족 못 해”

 

직장인들의 설날 상여금 규모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직장인들이 올해 설날 받고 싶은 상여금 규모는 평균 94만원이었다.

 

21일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지난 3일부터 15일까지 국내기업에 재직 중인 1,709명을 대상으로 ‘설날상여금 만족도와 기대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불만족한다’는 응답이 56.0%(매우 불만족 34.6%+대체로 불만족 21.4%)였다고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13.5%(매우 만족 3.3%+대체로 만족 10.1%)에 불과했다.

 

설날 상여금 만족도(매우 만족+대체로 만족)는 대기업 직장인이 19.6%로 가장 높았고, 중견기업 직장인 14.3%, 중소기업 직장인 11.7% 순이었다.

 

관련해서 직장인들이 올해 받고 싶은 상여금 규모는 평균 94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들이 작년에 받은 설날 상여금(평균 65만원)보다 29만원(44.9%)이 많은 것이다.

 

대기업 직장인들이 희망하는 설날 상여금은 평균 124만원으로, 작년에 받은 설날 상여금(평균 98만원)보다 26만원(+27.1%) 많았다.

 

중견기업 직장인들의 희망 상여금 평균은 작년 평균 65만원보다 26만원(+40.3%) 많은 92만원이었고, 중소기업은 작년 56만원보다 31만원(56.3%) 많은 평균 87만원이었다.

 

한편, 실제 직장인들은 올해 설날 비용은 “예년보다 더 쓸 것 같다”고 예상했다.

 

잡코리아가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직장인 1.035명을 대상으로 ‘설날 예상경비’를 조사한 결과 ‘올해 설날 경비를 작년보다 더 쓸 것 같다’는 응답은 52.5%였다.

 

‘작년과 비슷하게 덜 쓸 것 같다’는 답변은 26.0%, ‘작년보다 덜 쓸 것 같다’는 답변은 21.5%로 가장 적었다.

 

기혼 직장인의 경우 올해 설, 평균 80만3,000원을 경비로 지출할 것으로 봤다.

 

즉, 직장에서 받는 설날 상여금 이상의 비용을 지출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이다.

 

직장인들은 설날 예상되는 비용 중 부담스러운 항목으로 ▲부모님과 친지들의 설날 선물이나 용돈(35.1%) ▲세뱃돈(19.0%) ▲귀성·귀경 교통비용(15.8%) ▲설날 상차림 비용(11.0%) 등을 꼽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