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메뉴

경제


한경연 “지난 10년간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中企 44.8%·대기업 28.4%”

 

지난 10년간 중소기업(300인 미만)의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증가율이 대기업(300인 이상)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경제연구원은 고용노동부의 ‘기업체노동비용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2018년 상용근로자(10인 이상 기업)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이 35.4%(383만6,000원 → 519만4,000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2008~2013년 중소기업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295만6,00원에서 427만9,000원으로 44.8% 인상됐고, 대기업은 491만8,000원에서 631만7,000원으로 28.4% 증가했다.

 

직접노동비용의 경우 중소기업은 48.5%(2008년 236만9,000원 → 2018년 351만7,000원), 대기업은 30.0%(2008년 378만3,000원 → 2018년 491만7,000원) 올랐고, 간접노동비용은 중소기업 29.8%(2008년 58만7,000원 → 2018년 76만2,000원),  대기업은 23.3%(2008년 113만5,000원 → 2018년 140만원) 인상됐다.

 

이처럼 노동비용이 증가한 데는 직접노동비용 중 ‘정액·초과급여’와 간접노동비용 중 ‘법정노동비용(4대 보험료율)’의 인상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직접노동비용이 38.1%(300만3,000원 → 414만6,000원) 증가할 때 ‘정액·초과급여’는 45.1%(233만2,000원 → 365만원)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53.4%(206만3,000원 → 316만5,000원) 증가했고, 대기업은 37.1%(266만3,000원 → 365만원) 올랐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의 월평균 근로시간(소정+초과근로)은 7.5% 감소하며 대기업(-0.6%)보다 빨리 줄었지만, 중소기업의 ‘정액·초과급여’는 대기업보다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여금·성과급’은 중소기업, 대기업이 각각 15.0%(30만6,000원 → 35만2,000원), 13.1%(112만원 → 126만7,000원) 증가했다.

 

간접노동비용은 25.8%(83만3,000원 → 104만8,000원) 인상될 때 간접노동비용 중 ‘법정노동비용’은 40.2%(25만6,000원 → 35만9,000원) 올랐다.

 

중소기업은 46.0%(20만2,000원 → 35만9,000원), 대기업은 36.0%(32만2,000원 → 43만8,000원) 인상됐다.

 

간접노동비용의 다른 항목을 보면 근로자 1인당 ‘퇴직급여 등의 비용’은 중소기업이 33.8%(24만원 → 32만1,000원), 대기업 16.1%(50만9,000원 → 59만1,000원) 등 22.8%(2008년 36만원 → 2018년 44만2,000원) 증가했다.

 

‘법정 외 복지비’는 18.4%(18만5,000원 → 21만9,000원) 인상됐는데, 중소기업은 0.7%(13만6,000원 → 13만7,000원) 증가한 반면, 대기업은 31.1%(24만4,000원 → 32만원) 올랐다.

 

업종별로 2018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이 가장 많은 업종은 ▲전기·가스업(881만8,000원)으로, 전체 평균(521만1,000원)의 1.7배였다.

 

이어 ▲금융·보험(877만3,000원) ▲제조업(592만2,000원) 순이었다.

 

가장 적은 업종은 ▲사업시설관리(255만4,000원) ▲숙박·음식(335만3,000원), 부동산(381만2,000원) 등이었다.

 

노동비용이 가장 많은 업종과 적은 업종 간 차이는 2008년 494만2,000원(금융·보험 680만1,000원, 사업시설관리 185만9,000원)보다 132만2,000원 증가한 626만4,000원으로 나타났다.

 

추광호 일자리전략실장은 “지난 10년간 중소기업의 직접노동비용 중 ‘정액·초과급여’와 간접노동비용 중 4대 보험료 등을 포함한 ‘법정노동비용’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인건비를 높이는 요인이 됐다”며 “인건비 상승으로 최저임금 미만율이 2008년 10.8%에서 2018년 15.5%로 높아진 점, 저소득층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어 근로소득이 줄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최저임금 결졍 시 기업들의 지불 능력, 생산성 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2025 희망의씨앗과 함께 하는 농구대회... 27일 용인에서 열린다
오는 27일 경기도 용인에서는 아주 특별한 자선경기가 열린다. 사단법인 한기범희망나눔이 개최하는 이번 경기는 이날 오후 2시 용인실내체육관 (용인특례시 경안천로 76)에서 ‘2025 희망의씨앗과 스타와 함께하는 희망농구’ 자선경기로 펼쳐진다. 더욱이 ‘생명나눔 주간(제8회)’을 맞아 개최되는 만큼 장기·인체조직 기증희망등록을 활성화해 뿌듯한 생명나눔 문화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행사에는 장기·인체조직 기증자 가족들을 위한 특별 관람좌석이 마련된다. 또한 직접 자선경기에 참여하는 이벤트로 그들을 존중하고 위로하는 사회적 문화도 조성하고자 한다. 경기 출전선수로는 한기범(한기범희망나눔 회장) 감독을 필두로 사랑팀에 전 프로농구선수 조성원, 김원, 이항범, 김건우, 유성호, 김현민, 농구선수 박시은, 연예인 선수는 황영진, 송준근, 박재민이 출전한다. 레전드 김유택 감독의 희망팀은 전 프로농구선수 윤성준, 박래훈, 박래윤, 농구선수 임원준, 이소정, 박은서, 연예인선수 박광재, 문수인, 이대희가 출전할 예정이다. 경기는 아나운서 박종민, 탤런트 김덕현, 김서연의 사회로 시작되며 가족참여 농구슛 이벤트를 시작으로 김재롱, 정찬희, VVS(보이그룹), 케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