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동일 학력 조건에서도 남녀 임금격차 최대 2,000만원

 

같은 학력 조건일지라도 성별 자체가 임금 격차의 변수가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취업포털 인크루트는 알바콜과 함께 고용노동부 ‘임금 직무 정보시스템’의 ‘맞춤형 임금 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우선 ▲대졸 이상 여성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4,136만원으로 ▲대졸 이상 남성 근로자 평균 6,128만원의 67.4% 수준에 그쳤다.

 

같은 학력이지만, 성별에 따라 많게는 2,000만원 차이가 난 것.

 

이어 ▲전문대졸 여성 근로자 평균 임금은 3,124만원 ▲고졸 이하 여성 근로자는 2,676만원이었다.

 

이는 같은 학력의 ▲전문대졸 남성 근로자 4,359만원 ▲고졸 이하 남성 근로자 3,628만원보다 각각 1,235만원, 952만원 적은 것이다.

 

연령대별로도 임금 차이가 상당했다.

 

▲25~29세 근로자의 경우 남녀간 임금 격차가 113만원으로, 남성이 조금 많았고, ▲30~34만세는 424만원 ▲35~39세에서는 975만원으로 점점 늘어나 ▲40~44세에서는 1,846만원으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다음으로 ▲45~49세에서는 격차가 2,675만원 ▲50~54세 2,843만원으로 더 벌어지며 격차가 절정에 달했다.

 

이외 ▲55~59세는 2,387만원 ▲60세 이후 1,221만원으로 임금 격차가 줄었다.

 

여성 근로자가 남성 근로자보다 임금이 높은 경우는 ▲20~24세(73만원 차이) 밖에 없었다.

 

특히, 신입 시점에서 초봉은 같았지만, 연봉 4,000만원 선을 여성 근로자의 경우 ▲35~39세에 달성하는 것에 비해 남성 근로자는 ▲30~34세에 달성, 여성보다 최대 5년 빨리 도달했다.

 

한편, 여성 근로자의 경우 ▲35~39세에 평균 임금 3,967만원을 기록하며 ▲60세(2,524만원)까지 임금 감소가 빨랐다.

 

반면, 남성 근로자는 임금 감소 역시 빨랐다. ▲45~49세에 평균 6,051만원으로 최대치를 달성한 후 ▲50대에는 5,000만원 선에 머물렀고 ▲60세 이후에는 평균 3,745만원으로 임금 감소의 폭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