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젊어지는 대기업 임원… 5명중 1명은 ‘40대’

 

대기업 임원의 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여전히 ‘50대 임원’이 대부분(73.3%)을 차지하고 있으나 40대 임원도 21.6%로 5명중 1명이상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14일 시가총액 상위 30개사의 2020년 사업보고서(2020.12.31기준)에 공개된 등기/미등기 임원 총 3,119명의 연령과 학력 등을 분석해 발표했다.

 

잡코리아 조사에 따르면 이들 대기업 임원의 평균 연령은 만 53세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만50~54세’의 대기업 임원이 45.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만55~59세’도 28.3%에 달해 전체 조사 대상 임원 중 73.3%가 5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만 45~49세’가 18.4%, ‘만60~64세’가 4.5%, ‘만40~44세’가 3.2% ‘만40세 미만’이 0.3% 순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50대(73.3%)에 이어 40대 임원이 21.6%로 많았고 이어 60대(4.8%), 30대(0.3%) 순으로 많았다. 대기업 임원 중 30대의 임원은 총 8명으로 조사됐는데, 이들은 네이버, 셀트리온, LG생활건강, SK텔레콤 등의 기업에 재직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 특히 대기업 임원 중 40대의 임원 비율이 21.6%로 5명중 1명이상에 달해 눈길을 끌었다. 

 

40대 임원 비율은 지난해 동일조사(18.6%)에 비해서도 3.1%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 임원의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반면 50대 임원 비율(73.3%)은 지난해 동일조사(75.8%) 대비 2.5%포인트 감소했고, 60대이상 임원 비율(4.8%)도 지난해 동일조사(5.5%) 대비 0.7%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임원 중에는 ‘해외’에서 학위를 취득한 유학파가 많았다. 대기업 임원의 ‘최종학력’을 조사한 결과, 4명중 약 1명에 이르는 24.3%가 ‘해외’에서 학업을 마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 중에서 대기업 임원을 가장 많이 배출한 학교는 ‘서울대학교’로 14.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세대(9.3%) △고려대(8.5%) △카이스트(8.3%) △성균관대(6.8%) △한양대(6.5%) △부산대(4.1%) △인하대(3.5%) △서강대(3.5%) △경북대(3.3%)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대기업 여성 임원의 비율은 5.9%에 그쳤다. 지난해 동일조사 결과(4.4%) 대비 소폭 증가한 수준이나, 여전히 대기업 임원 중 대부분은 남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