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과 대학생 10명 중 8명 "창업하고 싶어"


대학생과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창업에 도전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하고 싶은 분야로는 아이디어를 기반한 스타트업 창업보다 카페와 PC방 등 소상공인 창업을 희망한다는 의견이 조금 더 많았다.

 

잡코리아는 알바몬과 함께 대학생과 직장인 955명을 대상으로 <창업 의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먼저, 설문 참가자들에게 '창업에 도전해 보고 싶은지' 질문한 결과, 대학생 집단에서는 83.8%가 직장인 집단에서는 82.1%가 '도전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들이 창업을 하고 싶은 이유(*복수응답)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결과가 달랐다.

 

남성의 경우 '돈을 많이 벌고 싶어서(56.0%)', 여성은 '평소 하고 싶던 일을 하며 개인적 만족을 찾기 위해(51.8%)' 창업하고 싶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는 △개인적 만족을 찾기 위해(51.3%), 30대는 △돈을 많이 벌기 위해(52.6%), 40대 이상은 △노후(정년 이후)에도 일을 계속하기 위해서(55.0%)를 창업 희망 이유 1위로 꼽았다.

 

이 외에도 설문 참가자들은 △현재 취업/재취업이 어려워서(26.3%) △사업으로 실현해 보고 싶은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서(18.4%) △현재 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지원이 긍정적인 것 같아서(18.1%) △학위/학벌 등 차별이 없을 것 같아서(16.9%) △일자리 창출, 서비스 개선 등 사회에 기여하고 싶어서(9.8%) 등을 창업 희망 이유로 꼽았다.

 

도전하고 싶은 창업 분야는 ‘카페와 PC방과 같은 소상공인 창업을 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57.9%로, 스타트업 창업(40.9%) 보다 조금 더 많았다. 다만 성별로 구분해 보면 남성 중에서는 ‘아이디어를 기반한 스타트업을 창업해 보고 싶다’는 의견이 50.7%로 좀 더 높았다.

 

한편, 창업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것에는 아직 고민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창업을 하게 될 예상 시기를 묻는 질문에 '아직 잘 모르겠다'고 답한 이들이 전체 응답자 중 48.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3년 내(22.7%) △5년 내(22.0%)로 답했고, △1년 내에 창업을 시작하겠다는 응답자는 6.9%에 불과했다.

 

창업에 대한 의지는 있으나 이를 실제 행동으로 옮기기 어려운 이유(*복수응답)는 무엇일까.

 

해당 질문에 응답자들은 '실패했을 때 비용 손실에 대한 두려움(61.5%)'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 외에도 △창업 자금 마련의 어려운(30.6%) △원금 회수기간까지 생계비, 수입에 대한 압박감(28.8%) △정말 타당성 있는 사업인지 확신 부족(22.2%) 등을 창업을 주저하는 이유로 꼽았다.

 

창업을 위한 최소 자금으로는 △5천만원(25.8%)을 생각하는 이들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3천만원(20.0%) △1억 이상(18.1%) 순으로 창업 자금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이 돈을 마련하기 위한 방안(*복수응답)으로 △적금 및 저축으로 몫 돈을 마련하겠다(73.9%) △대출을 받겠다(45.7%) △부모님 및 가족의 도움을 받겠다(18.4%) △퇴직금을 투자하겠다(13.1%) △벤처캐피털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겠다(10.3%) 순으로 답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