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일본계 미국인 슈쿠로 마나베, 노벨 물리학상 수상

 

2021년 노벨 물리학상은 독일과 이탈리아의 연구자와 함께 일본계 미국인 슈쿠로 마나베 (90세) 씨가 수상의 명예를 얻었다. 일본의 노벨상 수상은 미국 국적 취득자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28명이며, 노벨 물리학상은 12번째이다.

 

2021년 수상자 슈쿠로 마나베 씨는 대기와 해양을 결합한 물질의 순환 모델에 관해 주장하였고,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선구적 연구를 인정받았다. 현재 그는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상급연구원으로서 미국 국적을 취득한 채 연구에만 몰두하고 있다.

 

일본 NHK는 5일, 슈쿠로 마나베 씨가 일본 에히메현(시코쿠 북서부) 출신으로 도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에서 해양 대기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대기와 해양을 결합한 물질의 순환 모델과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에 관한 영향을 전 세계에서 선구적으로 밝혀내는 연구자라고 보도했다.

 

그는 미국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벤쟈민 프랭클린 메달’을 2015년에 이미 수상한 바 있으며,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가 선발한 ‘크라포르드 상’을 2018년에 수상한 바 있다. 일본인의 노벨 물리학상은 6년 전 2015년의 카시다 타카아키 교수에 이어 12번째이다.

 

 

현대 기후 연구의 기초 다져

 

슈쿠로 마나베 씨의 수상 이유에 대해 노벨상 선정 위원회는 “현대 기후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라고 밝히고 있다.

 

지구기후는 인류에게 무엇보다 중요하고 복잡한 환경적 구조인데 슈쿠로 마나베 씨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승할 경우 지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연결 구조를 분명하게 밝혀냈다는 것이다.

 

그는 지난 1960년대 지구의 기후에 관한 모델 개발의 책임자로서 지표면이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 그리고 지구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이 같다는 ‘복사 평형’에 대해 연구했다. 이는 대기의 종적인 움직임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세계 최초로 밝혀낸 것으로 이러한 연구들이 현재 기후모델과 연구에 기초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물리학의 기초적 지식을 통하여 복잡한 프로세스와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로서 역학을 통한 지구의 기후연구는 처음으로 신뢰성 높은 예측을 일구어냈다는 것이다. 특히 이산화탄소 농도가 2배 높아지면 지표면 온도가 2도 상승하리라 예측한 부분은 높이 평가된다.

 

기상과 기후에 관한 첫 노벨상

 

지금까지의 노벨 물리학상은 ‘천문학과 우주물리학’, ‘원자와 분자’, ‘물질을 구성하는 소립자 물리’ 등 크게 세 분야에서 선발되었다. 이번 기상과 기후에 관한 연구를 통한 노벨상은 처음이다. 이는 기후의 변동이 전 지구적인 높은 관심을 받는 배경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새로운 총리 기시다 후미오 내각총리대신도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하여 “슈쿠로 마나베 씨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일본에서의 연구 활동 업적을 바탕으로 해외에서 활약하고 있는 연구자로서 독창적인 발상과 진리의 발견이 인류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국제사회에 기여한 공헌에 대해, 세계로부터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일본 국민으로서 긍지를 느낍니다”라고 적었다.

 

노벨상은 ‘물리학’, ‘화학’, ‘의학’, ‘문학’, ‘평화’, ‘경제과학’ 총 6개 분야로 나뉘며 나라별 수상자 1위는 미국, 2위는 영국이다. 이어 독일, 프랑스, 스웨덴이 뒤를 잇고 있으며, 일본은 현재 6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것이 유일하고, 연구 분야에서는 아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수상 이유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도 단기적 연구 성과에 치중하기 보다 기초적인 연구와 학문에 중점을 둔 교육이 절실해 보인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변·시민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등 정부 차원 TF 구성해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원인규명 국민권익위 결과 발표 및 환경오염 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낙동강 1300리 주민 집단 손해배상청구’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 석포제련소 TF와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는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 1,300리를 병들게 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법 행위와 환경 파괴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며 “오염의 진실을 바로잡고 피해 주민들의 건강권과 환경권율 회복하며,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5년 3월, 낙동강 1300리 지역의 주민들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7월 7일, 권익위는 해당 민원에 대해 공식 의결했다”고 전했다. 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 장관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