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기자에게 걸려온 한 통의 전화...알고보니 '보이스피싱'

"개인번호로 전화와 수사기관이라고 말하면 무조건 보이스피싱"

 

근래 수사·정보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극심해지고 있다. 이날 오전 기자 휴대폰으로도 모르는 전화번호로 수사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전화가 걸려왔다.

 

발신인(이하 범죄자)은 자신을 대검찰청 사무관이라 소개했고 기자가 성매매 특별법 금융범죄 사기사건에 가담됐다며 타인이 없는 외부 장소로 이동을 부탁했다. 범죄자는 자세한 신상정보를 요구했고 공문과 구속영장, 직인까지 위조하는 대담함을 보였다.

 

범죄자는 “국민은행 과장으로 일했던 전라도 광주 출신의 김ㅇㅇ씨를 아십니까”라고 물었고, 기자는 당연히 “전혀 모른다”고 답했다.

 

그러자 “저희가 얼마 전 성매매 알선 및 금융법 위반 혐의로 김ㅇㅇ씨를 검거했다. 수사를 하던 도중 현장에서 김종현(기자)씨 본인 이름으로 된 통장과 신분증 사본을 발견했다”며 기자의 생년월일을 알려줬다. 놀랍게도 범죄자가 말한 생년월일은 실제 생년월일과 일치했다.

 

범죄자는 또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소재 우리은행 지점에서 계좌를 개설한 것이 확인되는데 이 통장이 범죄에 악용되서 2300만원의 피해 자금이 발생된 상황”이라며 “김ㅇㅇ씨에게 해당 통장이나 금전을 준 적 있냐”고 질문했다.

 

이외에도 “개인정보 유출로 명의도용 당한 적이 있냐, 개인 정보가 유출이 돼서 피해를 본 사람들이 있다. 아이클라우드를 통한 해킹 사례도 발견되고 있는데 아이폰을 사용한 적 있냐” 등 여러 정보들을 요구했다.

 

참고로 기자는 경기도 광명시에 연고가 전혀 없고 광명시 소재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통장을 타인에게 양도한 적은 더더욱 없고 2009년 휴대폰을 개통한 이래 단 한 번도 아이폰을 사용한 적이 없다.

 

 

범죄자는 기자에게 여러 정보들을 물은 뒤 크롬 검색창에 특정 번호(118.***.*.**)를 검색해 접속할 것을 요구했다. 접속해 보니 대검찰청 로고가 박힌 사이트가 나왔고 ‘나의사건조회’, ‘증명서발급’ ‘민원서식’ 등 실제와 유사하게 사이트를 구성해 놓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범죄자는 기자에게 나의사건조회를 통해 비회원실명확인을 할 것을 권유했다. 실제 접속해 보니 대검찰청, 법무부 로고가 박힌 위조된 공문서와 구속영장이 나왔다. 두 문서에는 모두 직인과 지문이 찍혀 있었다. 사법기관 공문서 양식을 잘 모르는 일반인이 보면 진짜라고 착각할 수 있을 만큼 정성을 들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 페이지에는 우리은행 로고가 박힌 거래내역 의뢰 조회표가 나왔다. 밑에는 검수자, 확인자, 인수자 명의가 적혀있었고 서명·직인도 날인돼 있었다. 우리나라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이 갈수록 교묘하게 진화하는 모습을 보고 놀라움과 안타까움을 감출 수 없었다.

 

통화 말미에는 "해당 사건은 엠바고 건이라 절대 외부에 누설해서는 안된다. 엠바고에 대해서 아느냐"고 질문했다. 엠바고는 일정 시간까지 한시적으로 보도를 중지하는 것으로 기자는 엠바고 요청된 보도자료를 수도 없이 많이 받는다.

 

범죄자와 통화를 종료한 뒤 관련 수사기관과 감독기관에 전화해 자초지종을 설명했다. 대검찰청 관계자는 통화에서 “검찰이나 수사당국은 절대 개인 전화번호로 특정인에게 수사협조를 요청하지 않는다”며 “혹여 특정인에게 물어볼 사안이 생기면 사무실 공식번호로 요청드린다. 개인번호로 전화가 와서 수사당국이라 말하는 것은 보이스피싱이기 때문에 무조건 끊고 수신 차단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범죄자가 보낸 출처가 의심스러운 사이트 주소에 접속할 경우 원격조종 악성앱이 설치되고 개인정보가 모두 유출돼 피해가 발생한다"며 "악성앱이 설치됐다면 모바일 백신앱으로 검사 후 삭제하거나 데이터 백업 후 휴대폰 초기화를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의심스러운 URL주소는 접속하지 말아야 한다. 모르는 번호로 온 전화를 받은 경우 수상한 요구가 있으면 응하지 말고 바로 끊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