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주말 대낮 도심 산불에 놀란 주민들···“빨리 꺼지길”

소방당국 “크게 2곳에서 산불 발생했는데 1곳은 현재 진화되는중”

 

“(서울 종로) 부암동 362-5에서 발화됐다는 것만 들었어요. 대피왔는데 불안하죠.”

 

2일 오후 2시경 인왕산 산불 현장 인근 개미마을 계단에 모여 있는 인근 주민들은 불안하고 초조한 눈빛이었다.

 

인왕산 입구 인근에 집이 있다는 A씨는 “매캐한 연기 때문에 불쾌하다. 불이 빨리 꺼지기만을 바라는 상황”이라며 “(인왕산 인근에 집이 있어) 불안하다”고 말했다.

 

2일 정오 무렵 인왕산 산불 소식을 접하고 오후 1시 30분경 인근 홍제역에 도착했을 땐 이미 역사 안에도 매캐한 연기 냄새가 가득차 있었다. 역사 밖으로 나왔을 땐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마스크와 천으로 입을 가리며 서둘러 목적지로 향하고 있었다.

 

인근에는 산불 진화용 헬기들이 출동해 진화작업에 나서고 있었고 홍은사거리 일대는 경찰들이 교통정리를 하고 있었다.

 

 

기자가 산불 현장 인근 민가 지역인 개미마을로 진입했을 땐 이미 수십대의 소방차와 경찰차가 출동해 있었고 비상출동 명령에 입고있던 사복을 가방 안에 챙겨 온 구조대원도 눈에 띄었다.

 

현장 인근에서 만난 주민 B씨는 “(산불 연기 냄새가) 여기까지 내려와서 매우 불쾌하지만 지금은 산불이 집으로 내려오지 않을까 걱정되는게 제일 앞서죠”라며 걱정스러운 눈빛으로 산불 현장을 바라봤다.

 

산불 현장에 가까워지자 매캐한 연기가 코와 목을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들었고 기자도 기침을 수도 없이 내며 이동했다.

 

인왕산 입구 초입에 도착했을 땐 이미 경찰과 소방대원들이 펜스를 쳐 주민과 탐방객들의 진입을 막고 있었다. 현장에 진입하려는 기자에게 경찰은 “안전 때문에 더는 가시면 안됩니다”라며 진입을 저지했다.

 

 

해당 현장에서 만난 소방대원은 산불 발생 경위를 묻는 기자 질의에 “(산불 발생 경위는) 지금 조사중에 있고 민가로부터 100~150m까지 산불이 진입했는데 실질적으로는 잡히고 있는 상황”이라며 “불이 크게 두 곳에서 발생했는데 한 곳 진화는 거의 끝난 상황이고 한 곳은 아직 진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인왕산 산불은 2일 오전 11시 53분 서울 종로 부암동 인왕산 8부능선에서 발생했고 소방당국은 오후 12시 51분 대응 2단계를 발령하고 헬기 6대와 차량 35대, 인력 132명을 투입해 진화에 나서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2일 산불 상황을 보고 받고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진화와 예방에 총력을 다할 것”을 산림·소방당국에 지시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