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메뉴

정치


대한민국 재외공관 15%, ‘자동심장충격기’ 미설치

AED 미구비 25개 재외공관 중 치안·의료수준 낮은 특수지 재외공관 14곳
김영배 “재외국민 보호업무 수행하는 재외공관, 자동심장충격기 반드시 갖춰야”

 

대한민국을 대표해 외교활동과 재외국민 보호 업무를 하는 재외공관에서 정작 심폐소생 응급장비인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일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격무에 시달리는 재외공관의 직원이나 방문객의 급성심정지 등 응급의료 상황에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서울 성북구갑)이 외교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재외공관 167곳 중 약 15%인 25곳이 AED를 갖추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자동심장충격기(AED)는 심정지 상태의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줘서 심장이 정상적으로 박동하도록 해주는 응급장비로, 심정지 4분 이내에 AED를 사용했을 때 환자 생존율이 80%에 달할 정도로 효과적이고 사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AED를 갖추지 않은 25개 재외공관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치안이나 의료수준이 열악한 특수지일수록, 또 아프리카·중동 지역일수록 AED 미구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지 재외공관 63곳 중 AED를 갖추지 않은 14곳이며, 이는 전체 AED 미구비 공관(25곳) 중에서도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아프리카·중동 재외공관 37곳 중 10곳이 AED를 갖추지 않아 다른 지역에 비해 AED 설치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배 의원은 “치안이나 응급의료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특수지의 재외공관이 AED와 같은 응급의료장비를 잘 갖추어야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나타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약 70만 명의 동포사회를 뒷받침하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난 1년간 30만 명의 한국인이 방문한 호주, 월드컵과 아시안컵 등으로 관광객이 많이 방문한 카타르 등의 공관에서 AED를 갖추지 않은 것도 눈에 띈다”고 했다.

 

이어 “지난 2009년 4월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젯다 총영사관에서 근무하던 영사가 심장마비로 사망했고 같은 해 6월에는 주카메룬 대사관에 근무하던 참사관이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며 “2011년 5월에도 주나이지리아 대사관에서 근무하던 외교관이 일시 귀국한 뒤 갑자기 사망한 사건이 있었듯이 재외공관 직원들은 급성심정지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외교부훈령인 「재외공관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재외공관은 안전사고 및 재난 발생에 대비해 장비·물자·자재를 비축·관리해야 한다”면서 “비축·관리해야 하는 재난관리자원에 자동심장충격기(AED)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또 “자동심장충격기의 구비 의무를 규정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도 재외공관은 의무 설치 시설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재외국민 보호 업무와 안전사고에 대비해 재외공관에 AED 설치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재외공관, 특히 의료환경이 열악한 특수지 재외공관에서 재외국민 보호업무와 직원들의 급성심정지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자동심장충격기의 구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며, “재외공관의 자동심장충격기 구비와 관리를 위해 법 개정이나 외교부 내부 규정의 정비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국회에서도 재외국민과 재외공관 직원의 생명·안전을 위한 지원방안을 찾겠다”며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강원도, 강릉 가뭄 대응 2단계 격상…“2주 뒤 큰 피해 불가피”
강릉에 재난사태가 선포된 지 하루 만에 강원특별자치도가 대응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 도는 31일 가뭄 대책 긴급회의를 열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단계 체제로 격상,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는 여중협 행정부지사 주재로 강원도교육청,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석해 분야별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도는 취약계층 물 공급과 소상공인 피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농업용수 부족에 따른 농작물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리조트·관광지에 절수를 요청했고, 휴교·단축수업 및 급식 대책도 검토 중이다.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홍제정수장은 현재 전국 소방차들이 운반한 물에 의존하고 있다. 주 공급원인 오봉저수지는 저수율이 14.9%까지 떨어지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에 따라 수도 계량기의 75%를 잠그는 제한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도는 전국 살수차 지원, 민간 기부와 자원봉사까지 연계해 총력 대응할 계획이다. 또 9월 1일부터는 현장 관리관을 파견해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신속 대응을 강화한다. 여 부지사는 “현재로서는 뚜렷한 강수 예보가 없어 2주 뒤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모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범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