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메뉴

사회·문화


[무안 여객기 참사] 2명 외 전원사망 추정... 사고 원인 '조류 충돌' 증언 잇따라

역대 국내 항공기 사고 최대피해 규모 예상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해 이미 구조된 2명 외 탑승자 전원이 숨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남 소방본부는 29일 유가족 브리핑을 통해 탭승객 181명 가운데 생존자 2명을 제외하고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미 구조된 2명은 승무원으로 사고 당시 충격으로 기체에서 튕겨져 나와 생존한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소방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3분께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가 무안국제공항 활주로로 착륙을 시도하던 중 추락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항공기 기체는 활주로 외벽을 충돌하면서 반파됐고, 불길에 휩싸였다.

 

사고가 난 기종은 B737-800으로,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등 총 181명이 타고 있었다. 승객 175명은 한국인이 173명, 나머지 2명은 태국인인 것으로 파악됐다.

 

항공기 기체는 꼬리 칸을 제외하면 형체가 남지 않을 정도로 불에 탔다. 소방 당국은 오전 9시 46분쯤 초기 진화를 마쳤고, 오전 11시 10분까지 부상자 2명을 잇따라 구조했다. 부상자 2명은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으며 모두 승무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사고가 난 제주항공 7C2216편은 오전 1시 30분께 방콕에서 출발해, 오전 8시 30분께 무안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KBS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무안공항 주변에서 낚시를 하고 있었다는 목격자는 KBS와 통화에서 “항공기가 착륙하려고 낮게 날다 오리 떼와 부딪혔다”며 “이어 여객기가 다시 날아올랐고 잠시 뒤 꽝하는 소리와 함께 엄청난 연기가 하늘로 올랐다”고 말했다. 목격자는 오리 떼와 기체가 부딪히고 채 5분도 지나지 않아 사고가 났다고 말했다.

 

다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날 전남무안국제공항에서 해당 여객기에 탑승한 가족을 기다리던 A씨는 취재진에 “가족으로부터 항공기에 문제가 생겼다는 연락을 끝으로 현재까지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탑승객 B씨는 오전 9시 A씨에게 “새가 날개에 껴서 착륙을 못하는 중”이라고 연락을 남겼다. 언제부터 그랬느냐는 A씨 물음에 B씨는 1분 뒤 “방금, 유언해야하냐”고 문자를 보내고 현재까지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

 

12시 56분 소방청 브리핑에 따르면 사고 원인은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로 추정되며 추후 정확한 사고 경위 조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사망자는 남자 39명, 여자 46명으로 85명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추가 생존자 가능성에 대해서는 동체 파손이 심하다고만 답했다. 

 

당국은 현장에 임시안치소를 설치한 상태로 다수 사상자 치료를 위해 광주상급종합병원들과도 연락망을 구축하고 있다. 소방, 항공 당국은 인명 구조 및 사상자 확인 작업과 함께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강원도, 강릉 가뭄 대응 2단계 격상…“2주 뒤 큰 피해 불가피”
강릉에 재난사태가 선포된 지 하루 만에 강원특별자치도가 대응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 도는 31일 가뭄 대책 긴급회의를 열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단계 체제로 격상,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는 여중협 행정부지사 주재로 강원도교육청,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석해 분야별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도는 취약계층 물 공급과 소상공인 피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농업용수 부족에 따른 농작물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리조트·관광지에 절수를 요청했고, 휴교·단축수업 및 급식 대책도 검토 중이다.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홍제정수장은 현재 전국 소방차들이 운반한 물에 의존하고 있다. 주 공급원인 오봉저수지는 저수율이 14.9%까지 떨어지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에 따라 수도 계량기의 75%를 잠그는 제한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도는 전국 살수차 지원, 민간 기부와 자원봉사까지 연계해 총력 대응할 계획이다. 또 9월 1일부터는 현장 관리관을 파견해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신속 대응을 강화한다. 여 부지사는 “현재로서는 뚜렷한 강수 예보가 없어 2주 뒤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모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범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