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메뉴

기후경제


한국미래기술교육硏, 전력시장 변화 대비 신사업 추진 방안 세미나

수급관리 안정성 제고 위해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도입 계획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은 오는 2월 14일 '전력시장의 변화에 따른 시장 참여방법과 신사업 추진 방안 세미나'를 코엑스에서 진행 예정인 'Korea Smart Grid Expo 2025'와 동시 개최한다고 밝혔다.

 

그간 우리나라 전력시장은 변동비 기반의 하루전 시장만을 운영해 왔으나 재생에너지 출력변동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기에 수급여건과 운영상황을 적시 반영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경매시장, 수소발전 입찰시장, 장주기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입찰시장, 액화천연가스(LNG)발전설비 용량시장 등 다양한 시장을 신설하고 수급관리 안정성 제고를 위해 재생에너지 입찰제도가 도입될 계획이다. 

 

이러한 새로운 경쟁입찰시장은 정책적 수요공고량을 통해 저탄소 전원의 적정한 설비투자를 유인하고, 장기계약을 통한 리스크 완화 및 경쟁 촉진으로 공급비용을 절감하며 계약적 책무를 통한 적기 준공과 비가격 평가지표를 통한 계통여건의 반영으로 전력수급 안정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 조사 연구 기업 테크나비오는 글로벌 전력 거래 시장이 2028년까지 1,18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 기간에 연평균 약 6.6%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Fortune Business Insights는 전 세계 발전 시장 규모가 2024년 1조 622억 7천만 달러에서 2032년까지 2조 225억 6천만 달러로 성장하여 예측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 8.38%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orea Smart Grid Expo 2025'와 같이 열리는 금번 세미나에서는 이와 같은 정부의 에너지 신산업 육성 의지를 산학연과 연계하고자 하는 목적에 의의가 있으며 △'기존 전력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이슈별 진단. 해결방안' △'수도권 전력수요 분산을 위한 전력 수급 정책 방향과 해결방안' △'국내 전력계통 현안과 대응방안' △'재생e 연계 신시장 선점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사업화 방안' △'2024년 전력시장 운영실적 분석을 통한 전력시장 가격 안정화 방안' △'저장전기판매사업을 위한 ESS 신사업 모델 다각화 방안'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LMP) 도입과 전력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의 주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세계는 지금 전력화와 전력부분의 탈탄소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력시장은 거대한 전환기를 거치고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전환은 기회가 되고 전력산업은 혁신산업으로 바뀌고 있다."라고 말했으며, "이번 세미나는 변화하는 에너지 산업환경에 발맞춰 신규 정부정책 및 제도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친환경, 탄소중립을 위한 전력산업 구조 강화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며 미래 전력시장에 대한 전원구성, 기반기술, 운영기법 등에 대해서 대안을 탐구하는 장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컨퍼런스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조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사회적기업협의회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 전개”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소속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여성기업, 비영리단체, 협동조합 등 대표 일동은 8일 “주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통한 우리의 실천이사회적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며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 사회에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통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면서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이 고용한 총 71,950명 노동자에 64%(46,385명)가 취약계층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안전망을 구축해 온 것은 고용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의 성공한 정책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 협의회는 '일자리 창출'을 넘어, 4.5일제 참여를 통해 일과 가정의 균형과 안전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일과 삶의 균형 있는 일자리 안정망’의 사회적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면서 “나아가 우리의 실천이 사회적기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에서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하겠다.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홍보 해나가겠다”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