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메뉴

국내


민주, 美 ‘민감국가’ 지정...“한미동맹 흔드는 위험한 정권 파면해야”

“尹·국힘 정치인들의 자체 핵무장, 핵잠재력 확보 발언”

더불어민주당은 15일 “내란도 모자라 한미동맹도 흔드는 위험한 정권은 하루빨리 파면해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성회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미국이 대한민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에 포함시킨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며 “한미동맹 70년 사에 유례 없는 일이 벌어졌다. 대한민국 안보의 큰 기둥인 한미동맹에 실금이 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미국 에너지부가 대한민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이 지난 1월부터"라며 "(그럼에도) 권성동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에서 크게 흔들렸던 한미동맹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복원됐다고 했다. 엄중한 국회에서 세상 물정 모르는 거짓말을 늘어놓은 권성동 원내대표는 국민께 석고대죄하라"고 촉구했다.

 

지난 2월 11일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생태계를 복원하고 있다"며 "외교 안보 분야에서도 괄목할 성과가 있었다. 문재인 정부에서 크게 흔들렸던 한미동맹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완전히 복원됐다"고 했었다.

 

미국이 국가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등을 이유로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로 지정하는 경우, 원자력,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미국과의 교류협력이 엄격히 제한된다. 첨단기술 경쟁이 치열하고 국가안보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지금, 대한민국 경제·안보에 큰 타격이 있지 않을까 우려되는 이유다.

 

김 대변인은 "전문가들은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 이유를 윤석열과 국민의힘 정치인들의 자체 핵무장, 핵잠재력 확보 발언 등에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미국의 움직임을 전혀 알지 못한 국민의힘 유력 정치인들은 며칠 전 토론회를 열고 우라늄을 농축할 권한이 있는데 우리는 미국 제재 때문에 못하고 있다. 핵 잠재력 확보를 포함한 안보협력 체계 논의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며 "참으로 한심하고 무능하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당리당략을 위해 국가안보를 이용하는 못된 버릇을 당장 고치라”며 “대한민국을 정상화하고 국가 안보를 다시 챙기는 일은 내란 우두머리의 파면, 대통령 직의 무게를 망각하고 미국에 가서 ‘자체 핵무장 능력’ 운운한 아둔한 자의 신속한 파면에서부터 시작된다. 헌법재판소가 신속한 심판을 내려주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중동 전운·한반도 핵안보 위기까지…'한국의 핵안보 프로젝트 2' 발간
한국핵안보전략포럼이 오는 20일 총서 제2권 『한국의 핵안보 프로젝트 2: 국제사회 설득과 초당적 협력』을 발간한다. 지난 1권이 한국 자체 핵무장의 당위성과 추진 전략을 다뤘다면, 이번 2권은 국제사회와 국내 정치권을 설득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책은 최근 한 달 새 벌어진 국제 안보 현안을 서두에서 짚으며 문제의식을 던진다. 이스라엘-이란 충돌과 극초음속 미사일의 방공망 돌파,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무기지원 번복, 북한의 전술핵 사용 가상 시나리오와 주한미군 감축 논의 등 일련의 사건을 통해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과 방위 의지를 신뢰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노병렬 대진대 교수는 핵무장 시 예상되는 경제제재 강도가 과장됐다고 분석했고, 이창위 서울시립대 명예교수는 핵비확산조약(NPT) 탈퇴 대신 ‘이행정지’ 방안을 제안해 제재 회피 가능성을 논의했다. 심규상 미국 텍사스대 교수는 해외 전문가 담론을 분석해 설득 대상과 연대 대상을 구분했다. 로버트 켈리 부산대 교수,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 김흥규 아주대 교수, 딜런 모틴, 리소테츠 류코쿠대 교수 등이 미국·중국·일본·러시아·유럽 국가 설득 전략을 제시했다. 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