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메뉴

산업


제니가 쏘아올린 바나나킥·멜론킥 열풍... 농심 '킥시리즈' 해외진출 러시

미국 LA 현지서 협업한 바나나킥 도넛 출시 등 현지 스킨십
오리온, 롯데웰푸드도 'K-스낵' 제품 판매로 매출 신장 효과

 

반세기동안 사랑받아 온 국민 스낵 ‘바나나킥’과 동생격인 ‘멜론킥’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노크하고 있다.

 

농심은 미국 현지서 바나나킥 도넛을 선보이는 등 '킥시리즈' 스낵을 해외수출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을 시작했다. 또 다른 K스낵인 초코파이(오리온), 빼빼로(롯데웰푸드)도 러시아, 미국 등 해외 각지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한 상황이다.

 

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농심이 바나나킥, 멜론킥을 해외에 수출하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돌입했다. 이날 농심은 디저트 카페 노티드와 손잡고 미국 LA 웨스트필드에 위치한 노티드 해외 1호점에서 ‘바나나킥 크림 도넛’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농심은 노티드와 다양한 농심 스낵 협업 메뉴를 선보이며 미국 내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최근 바나나킥은 블랙핑크 제니 등 유명 K팝 스타들이 선호하는 스낵으로 꼽히며 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제니는 지난 달 미국 인기 토크쇼 ‘제니퍼 허드슨 쇼’에 출연해 “가장 좋아하는 과자”로 농심 ‘바나나킥’을 언급한 바 있다.

 

농심 관계자는 “해외 1호점이라는 상징성을 가진 매장에서 바나나킥을 시그니처 메뉴에 활용하고 있다”면서 “바나나킥을 비롯한 킥 시리즈가 글로벌 스낵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마케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바나나킥의 경우, 현재 미국 등 해외 각국에 수출 중"이라며 "판매 시장을 더 넓히고 확장하겠다는 의미"라고 귀띔했다.

 

한편, 오리온과 롯데웰푸드는 해외에서 인기 있는 스낵을 출시하며, K스낵의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오리온이 1993년 러시아 글로벌 판매를 시작한 초코파이는 국내외에서 40억 개 판매를 기록했고, 현재는 전 세계 60여개 국가에서 판매 중이다.

 

롯데웰푸드는 1983년 국내에 선보인 빼빼로 브랜드의 신제품인 ‘인절미 팥빙수 맛 빼빼로’를 한국, 미국, 브라질, 중국, 싱가포르 등 9개국에 동시 출시하기도 했다. 지난해 롯데웰푸드는 빼빼로 마케팅을 통해 해외 50여 개국에서 540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기재부, 예산처 분리 앞두고 물갈이 단행...광양 출신 박창환 발탁
기획재정부는 8일 조직개편을 앞두고 예산실 핵심 보직을 중심으로 대규모 국장급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개편에 따라 △정향우 사회예산심의관 △박창환 경제예산심의관(직무대리) △남경철 복지안전예산심의관(직무대리) △이제훈 행정국방예산심의관 등이 새로 배치됐다. 그중 박창환 전라남도 경제부지사가 경제예산심의관(직무대리)으로 발탁된 점이 주목된다. 전남 광양 출신인 박창환 경제예산심의관(직무대리)은 광주 인성고와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41회로 공직에 입문했으며 기획재정부 내에서도 예산정책과장, 예산총괄과장 등 주요 실무 보직을 두루 거쳤다. 또 남경철 복지안전예산심의관은 서울대 토목공학과를 나와 행시 41회로 공직에 입문했으며, 기재부 예산기준과장, 복지예산과장, 재정관리총괄과장, 세계은행 선임재정관 등을 지냈고, 이제훈 행정국방예산심의관은 행시 42회 출신으로 기재부 교육예산과장, 국채과장, 재정전략과장 등을 두루 역임했다. 전날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현재의 기획재정부를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로 분리하는 방안이 담겼다. 재경부는 경제 정책, 국내·국제 금융 정책, 세제 등을 맡고 장관이 부총리를 겸한다. 예산처는 예산 편성과 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