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산업


'소비쿠폰 열풍'에 편의점 매출 10%대 껑충...주류 최대 30%↑

생필품·신선식품 매출 신장...1∼2인 가구뿐 아니라 중년년층 구매 늘어

 

전국의 '소비쿠폰'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편의점은 가맹점이 대부분이어서 손님이 늘어 평균 매출이 전국적으로 상승했다. 

 

소비쿠폰과 더불어 폭염이 연일 이어지며 맥주 매출이 30.0% 안팎 증가하는 등 술과 담배 매출이 크게 늘었다. 편의점 운영 4사에 따르면, 소비쿠폰이 지급된 이달 22∼28일 일주일 매출과 방문객 수가 지난달 같은 기간(6월 24∼30일) 대비 급증했다.

 

29일 편의점 4사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매출과 방문객 수가 전월 같은 기간(6월 24~30일) 대비 일제히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마트24는 매출이 10% 이상 뛰었다고 밝혔으며, GS25도 "객단가가 평균 10%가량 상승했다"고 전했다.

편의점 운영사들은 소비쿠폰 지급 후 가족 단위 쇼핑객과 중장년층 고객의 방문이 증가했다고 알렸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 관계자는 "소비쿠폰 지급 후 생필품 등을 중심으로 편의점 장보기 고객이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객단가가 오르는 양상을 보인다"고 말했다. 본래 편의점 고객 1인당 평균 구매 금액(객단가)은 7천원 정도인데, 소비쿠폰 지급 후 장바구니에 더 많이 담는다는 뜻이다.

 

소비쿠폰 소비에 대해 세븐일레븐 관계자도 "10만원까지 쓰는 고객은 거의 없지만, 편의점 채널 특성에 맞게 먹거리 중심으로 맥주와 생필품 등을 고루 담아 2만∼3만원 수준에서 소비하는 고객이 늘었다"고 말했다.

 

편의점 고객들은 간편식, 신선식품을 비롯해 생필품, 쌀 등 평소 구매하지 않던 품목까지 다양하게 소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GS25 관계자는 "소비쿠폰 지급 후 객단가가 평균 10%가량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며 "대량 구매를 위해 출입구나 카운터 인근에 비치된 쇼핑 바구니를 이용하는 고객도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특히 소비기한의 구애를 받지 않는 담배와 술을 구매하는 고객이 증가했다. 지난 일주일간 맥주 매출을 지난달과 비교하면 GS25는 31.7%, CU 29.2%, 세븐일레븐 30.0%, 이마트24는 20.0%가 껑충 뛰었다.

 

GS25와 CU의 소주 매출도 각각 16.2%, 12.4% 증가했다. 맥주와 소주 매출이 늘면서 전체 주류 매출 역시 10% 이상 늘었다.

 

편의점에서 담배도 소비쿠폰으로 구매할 수 있다 보니 흡연자들이 한 갑 단위가 아닌 '보루'로 구매하는 경우가 늘어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편의점들은 소비쿠폰 지급을 계기로 고기와 계란, 과일 등 신선식품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편의점에서 장을 보는 '편장족'이 늘어나던 차에 소비쿠폰까지 지급돼 '편의점에서도 장을 본다'는 인식을 확실히 심어주고 있다"며 "대형마트들은 한시적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고객을 빼앗길 수 있는 상황이라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머나먼 언론개혁..."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독립의 최소장치"
각계 각층에서 언론개혁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훈기 의원(방송·콘텐츠특별위원회 위원장)과 이정헌 의원이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에 대한 조속한 추가 입법에 나서기로 했다. 두 의원은 29일 국회의원회관 제 2세미나실에서 '방송 3 법 그 이후 : 보도 독립·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왜 필요한가?'를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방송 3법 개정으로 공영방송의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가 법제화됐지만, 민영 · 지역방송은 적용 대상에서 빠지며 형평성 논란이 제기된 가운데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더불어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원회 분과장을 비롯한 정책 전문가, 현업 언론인, 시민사회, 학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공영방송에 국한된 임명동의제의 한계를 짚고, 민영·지역방송으로의 확대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훈기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 7일 국회 과방위를 통과한 방송 3법 개정안은 방송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위한 진일보했지만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적용 대상은 KBS, MBC, EBS, YTN, 연합뉴스 TV, 5개 방송사로 한정됐다”며, “종편사의 뉴스 시청률이 이제는 국민들에게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상당한 만큼 공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