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메뉴

경인뉴스


김동연, 중국 충칭과 우호협약 체결..전방위적 교류 협력 기대

-무역촉진, 투자협력 등 교류협력 기대..대표단 상호방문 등 소통 추진
-상대 도시가 개최하는 국제행사 등에 적극 참가
-경제과학진흥원, 충칭시 상무위원회·량장신구관리위원회와 교류협력 업무협약

중국을 방문 중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3일 충칭시 우두호텔에서 후헝화 충칭시장 등 지도부를 만나 우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체결로 베이징과 상하이, 텐진, 충칭 등 중국이 직접 관할하는 4개 직할시 가운데 텐진에 이어 두 번째로 우호협력 관계를 맺게 됐다.

 

경기도는 충칭과 ▲경제통상·과학기술·교육·문화·관광·도시관리·정보통신·환경보호·보건의료·노인복지·중소기업 지원 등 분야에서 교류 협력을 추진하고 ▲대표단 상호방문, 서한교류 등 대화와 소통을 상시 추진하며 ▲상대 도시가 개최하는 국제행사 등에 적극 참가하는데 합의했다.

 

김 지사는 “충칭처럼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도이자 GRDP도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며 “교통도 수도 서울을 감싸면서 바다를 끼고 있는 요충지라 중국의 허브인 충칭과는 공통점이 많다”고 말했다.

 

또 “산업측면에선 더욱 더 유사한 점이 많다. 경기도는 전통제조업을 포함해 AI를 비롯해 모든 첨단 산업이 모여있는 대한민국 경제와 산업의 심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충칭시와는 산업과 발전내용이 흡사할 뿐 아니라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점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런 충칭시와 우호협약을 맺게 돼 기쁘다”며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후 시장은 “제안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공감한다”며 “양지역 발전을 위해 저희도 함께 손잡고자 한다.실무팀을 구성해 실속있게 하자”고 화답했다.
 


충칭은 GRDP(지역총생산) 4,477억달러(약 623조, 경기도 594조원)로 중국 도시 중 4위에 해당하고, 성장률은 5.7%에 이른다.

 

자동차, 전자, IT, 스마트제조 산업 등이 발달해 SK하이닉스, 포스코, 한국타이어 등 많은 한국기업이 진출해 있고 최근에는 신에너지차, 로봇, 바이오 같은 신산업을 적극 육성 중이다.

 

우호협력 체결과 함께 경기도는 2건의 분야별 업무협약(MOU)도 추가로 체결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원장 김현곤)과 충칭시 상무위원회는 한중경제우호협력센터를 설립해 기업 및 주민·청년·공공기관 등의 협력 창구로 운영하기로 했다.

 

또 경과원과 자동차 산업의 주요 진지로 불리는 충칭시 량장신구(兩江新區)관리위원회는 AI·바이오·청년인재 취업 등 분야에서 교류협력을 심화하기로 했다.

 

량장신구는 중국 국가급 신구 3곳 중 하나로 대외개방의 핵심거점 역할을 하는 곳으로 자동차 산업 외에 IT·바이오의료 산업도 발달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중국을 샅샅이 파헤치다"...하종대의 '취중진담' 26일 방송
중국 특파원을 지낸 30년 정통 언론인 출신인 하종대 시사평론가의 진행으로, ‘하종대의 취중진담’이 오는 26일 유튜브 ‘ONN닥터TV’를 비롯해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방송된다. 하종대의 취중진담은 평생 중국을 관찰하고 연구, 보도해 온 패널들을 초청해 진행하는 시사토크로, 시청자에게 중국의 과거와 현재, 나아가 미래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심도 있는 정보와 예리한 통찰을 제공한다. 최근 14억 인민을 다스리는 절대 권력 시진핑 주석의 철권 통치에 균열이 감지되고 있다. 시진핑이 발탁한 외교, 국방 핵심 인물들의 연이은 실각, 쿠데타와 건강 이상설로 들끓는 인터넷 공간, 그리고 이례적 행보까지, 하종대의 취중진담 1회에서는 박승준 아주경제논설주간과 함께 시진핑의 권력 약화 징후와 그 배경에 숨겨진 중국 정치의 내막을 분석한다. 이 모든 것이 거대한 위기의 전조일지, 아니면 일시적인 현상일지, 소문 너머 시진핑의 중국이 나아갈 방향을 예측한다. 미국의 제재에도 가속화되는 중국의 AI(인공지능) 발전 뒤에는 한두 명의 천재가 아닌 거대하고 치밀하게 움직이는 국가 혁신생태계가 존재한다. 압도적인 인재풀, 하드웨어의 한계를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으로 돌파하는 혁신적인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