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현장에서 직원이 다치거나 숨지는 사고가 70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현장 안전 여건은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점식 의원(국민의힘·경남 통영‧고성)이 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공무 중 발생한 현장 직원 부상·사망사고 현황」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총 726건의 사고(사망 21명, 부상 705명)가 보고됐다.
2015년 56명이던 사고 인원이 2024년에는 85명으로 늘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사고 원인은 넘어짐(102건), 끼임(85건), 맞음(53건), 부딪힘(51건) 등이 주를 이루며, 매년 사망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8월 경북 청도군에서는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보수 중이던 인부 7명을 덮쳐 2명이 숨지고 5명이 다치는 참사가 발생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26일, 구로역 작업자 사망사고와 KTX-산천 탈선 등 철도안전 위반 7건에 대해 코레일에 총 15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앞서 정부와 코레일은 2023년 「중대산업재해 재발방지 종합안전대책」을 발표했으나, 핵심 과제 추진은 지연되고 있다.
예컨대, 2024년까지 9개소에 도입하기로 한 ‘무선 입환시스템’은 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미도입 상태다. 선로전환기 개량, 조명 및 CCTV 확충 등 기본적 안전시설 개선도 제때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점식 의원은 “현장 근무자들은 상시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심리상담 등 단편적 조치로는 부족하다. 근본적인 원인 분석과 실효성 있는 안전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더 이상 희생이 반복되어선 안 된다. 철저한 안전교육과 장비·시설의 조속한 구축에 코레일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