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메뉴

경제


지난해 연매출 1천억 이상 벤처 기업 450개 돌파

중소기업청은 21일 벤처 기업 6만9천801개 가운데 지난해 연매출이 1천억 원을 넘어선 기업이 454개로 전년의 416개보다 9.1%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매출 '1천억원 클럽'에 새로 가입한 벤처는 56개로, 나노스(2천160억 원), 카카오(2천108억 원), 해성옵틱스(1천828억 원), 경동원(1천751억 원), 휴롬(1천560억 원) 등이다. 전체 순위로는 코웨이가 1조 9천337억 원으로 1위에 올랐고, 팬택(1조 3천356억 원), 넥슨코리아(1조 2천522억 원), 네이버(1조 2천235억 원), 모뉴엘(1조 1천410억 원) 등 8개 벤처가 연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1천억원 클럽' 벤처가 올린 전체 매출액은 101조 2천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7.1%를 차지했다. 총 고용 인원은 16만6천164명으로 전년보다 3.1% 늘었고, 업체당 평균은 366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벤처의 성장성과 수익성은 대기업보다도 좋았다. 매출액 증가율(이하 12월 결산법인 441개사 분석)이 8.2%로 대기업(0.6%)이나 중소기업(4.6%)보다 높았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도 평균 6.9%로, 대기업(4.6%)이나 중소기업(4.2%)을 웃돌았다.

 

창업 이후 매출 1천억 원을 달성하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6.8년으로 전년(17년)보다 0.2년 단축됐다. 통신기기·방송기기가 10.8년으로 가장 짧았던 반면 음식료·섬유·(비)금속은 20.3년으로 가장 길었다.

 

업종별 비중은 기계·제조·자동차 등 일반 제조업이 49.7%로 가장 많았고, 컴퓨터·반도체·전자부품 등 첨단 제조업이 33.3%, 소프트웨어·정보통신 6.3%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59%가 몰렸고, 경남 15.9%, 충청 14.7%, 경북 6.3% 등의 순이다.

 

중기청은 '벤처 1천억 원 기업'의 성공 요인으로 기술 혁신과 해외 수출을 꼽았다. 이들 벤처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은 2.7%로 대기업(1.2%)이나 중소기업(0.7%)보다 높았다. 특허권 보유 건수도 평균 53.6건으로, 일반 벤처 평균(3.5건)의 15배에 달했다. 해외 수출은 매출 대비 25.9%에 달해 대기업(17.4%), 중소 제조업(14%)보다 많았다.

 

중기청은 오는 22일 '벤처 천억 기업' 기념식을 열어 이들 벤처에 기념패를 수여하고, 후배 벤처에 노하우를 전수하는 '벤처천억 청년창업 멘토링 지원단'을 발족할 예정이다. 이들 벤처는 기념식에서 벤처 펀드 출자금을 지난해 말 3천462억원에서 3년이내에 5천억원까지 확대하기로 결의할 예정이다. 연매출 1천억 원 이상인 벤처는 2005년 78개, 2006년 102개, 2007년 152개, 2008년 202개, 2009년 242개, 2010년 315개, 2011년 381개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쿠팡 ‘격주 주5일제 야간배송’ 시행 홍보했지만 ‘주7일 야간배송’ 강요
쿠팡이 ‘격주 주5일제 야간배송’을 시행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주6일, 주7일 강제노동이 자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쿠팡 대리점들이 회사 아이디를 이용해 심야노동시간 및 노동자 휴일이 없는 사실을 은폐하고 주7일 야간 배송까지 종용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쿠팡 대리점 올리브로지스틱스에서 일하던 A씨는 지난 7월 27일부터 엿새간 야간배송을 마친 뒤(7월 27일부터 7월 31일까지는 본인 아이디, 8월 1일은 회사 아이디로 근무), 하루 쉬는 날이던 8월 2일, 회사로부터 다시 근무 지시를 받았다. 배송 업무 어플 접속 아이디를 다르게 해 시스템상 주5일 근무 후 하루 휴식한 것처럼 만들어 마치 택배기사가 하루를 더 쉬려고 한 것처럼 보이게 한 것이다. A씨가 이를 거부하자 회사는 '대체 인력 투입 비용'이라며 용차비 70만 원을 청구했다. 만약 A씨가 그날 지시에 따랐다면, 해당 주간에 7일 연속 야간배송을 하게 되는 것은 물론, 그 다음 주 휴무일(토요일)까지 총 13일 연속 야간배송을 하게 되는 셈이었다. 특히, 5일은 노동자 본인 아이디로 배송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하루는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