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행안부, 불씨 관리 주의 당부 … 불법 소각 시 과태료 부과

정부가 최근 건조한 대기와 강풍이 지속됨에 따라 불씨 관리에 주의를 당부했다.


22일 행정안전부는 최근 가뭄과 강풍 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산과 산림이 인접한 곳에서의 불씨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해달라고 밝혔다.


행안부 주간(3.25~31) 안전사고 예보와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연평균 421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연간 총 603ha의 산림이 소실됐다.


이 가운데 3월은 연간 산불의 27%(112건) 이상 발생했고, 건조한 날씨로 인한 기상특보도 251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의 발생원인을 보면 입산자 실화가 37%(155건)로 가장 많았고, 논밭두렁 소각 17%(72건), 쓰레기 소각 14%(58건), 담뱃불로 인한 실화도 5%(22건)나 발생했다.


특히 올해 1월1일부터 3월18일까지 발생한 산불을 최근 10년과 비교해 보면 발생건수는 1.4배 증가했고, 피해면적은 2.7배나 많았다.


행안부는 "3월은 겨우내 쌓여있던 마른 낙엽과 건조한 날씨, 강한 바람 등으로 산불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시기이므로 주의가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에 가기 전에는 입산통제 유무와 등산로 구간 등을 미리 확인해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통제지역은 출입하지 않는게 좋다. 또 라이터, 버너 등 인화물질을 가져가지 않도록 하고, 야영과 취사는 허용된 곳에서만 해야 한다. 자동차로 산림과 인접한 도로를 운전하는 중에도 담배꽁초를 함부로 버려 산불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산과 산림이 인접한 지역에서 불법 소각 시 30만원의 과태료에 처하고, 과실로 산불을 낸 사람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등 관계법령에 따라 처벌 받을 수 있다.


정윤한 행안부 안전기획과장은 “산에 갈 때는 라이터 등 인화성 물질은 가져가지 말고, 산불을 발견했을 시 즉시 주변에 알리고 119나 산림부서 등으로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서가 승인해 놓고 불법이라고?...국민혈세 400억 낭비될 위기
일선 경찰서의 승인 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경찰청 본청이 ‘불법’으로 규정하고 철거를 지시하면서 최소 400억 원 이상의 국민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진행된 국감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경찰청의 정책 혼선은 지난 1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전국 지자체들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 위험 교차로 등에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스마트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를 확대해왔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자체는 관할 경찰서에 협의를 요청했고, 일선 경찰서들은 "사고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등의 공문을 보내 사실상 설치를 승인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경찰청은 2024년 8월, 돌연 전국 시·도 경찰청에 “전국 통일된 규격과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며 추가 설치를 중단하라는 공문을 하달했다. 그리고 1년 뒤인 2025년 7월, 해당 시설물이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켜 교통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표준 규격으로 ‘불채택’ 결정을 내렸다. 심지어 경찰청은 불채택 결정 바로 다음 날에 이미 설치된 시설물들이 「도로교통법」에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