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수 중 기둥 밑에서 '곡자' 발견

1863년 조선 철종대 수리 당시 넣은 것으로 추정

 

경기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제824호) 해체 보수 과정에서 목재 '곡자'가 나왔다고 문화재청이 5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곡자는 장변 43㎝, 단변 31.3㎝, 두께 2㎝ 내외로 목조건축물에서 가장 안전한 장소 중 하나인 대웅전 뒤쪽 기둥 하부와 초석 사이에서 나왔다.

 

대웅전 상량문 기록 등을 토대로 볼 때 1863년(철종 14년) 대웅전 수리공사 당시 기둥의 해체보수 작업 과정에서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곡자는 'ㄱ'자 형태의 자로, 전통건축에 쓰인 목재와 석재 길이를 측정하거나, 집 전체의 크기와 비례, 치목(治木, 나무를 깎는 일)과 치석(治石, 돌 다듬는 일)에 필요한 기준선을 부여할 때 사용한다.

 

문화재청은 "곡자 주변에 습기 조절 등을 위한 건초류와 고운 황토 등이 함께 발견된 점으로 볼 때, 후대 사람들이 건물을 지을 때 사용된 치수 단위를 알 수 있도록 한 옛 목수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발견된 곡자는 단변을 10치로 나누어 세부 단위를 '一(일)'부터 '十(십)'까지 표기했다. 특히 '一(일)'에서 '三(삼)'까지는 다시 한 치당 10등분 해 측정의 정밀도를 높였다.

 

또 건물의 기본이 되는 길이 단위인 용척을 분석한 결과 한 자가 313㎜ 내외로, 대웅전의 용척과 정확히 일치했다.

 

문화재청은 "313㎜ 기준은 조선 세종대 도량형을 통일한 1446년에 따른 영조척과 거의 유사하다"며 "18세기 후대까지 사용된 기준이기 때문에 이번에 발견된 곡자는 당대에 건물을 짓거나 수리할 때 사용한 척도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곡자는 현재 전문가들의 현황검토와 추가 훼손을 막기 위해 보존처리된 후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로 옮겨진 상태다.

 

한편 이번에 곡자가 발견된 안성 청룡사 대웅전은 주요 부재의 노후화로 인한 건물 전체 변형이 심해 지난 2016년 6월부터 해체보수가 진행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남도미식의 세계화 이끈다
‘K-푸드의 원류’ 남도미식 최근 ‘K-푸드’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류 열풍 을 이끌고 있다.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이 한국 문화콘텐츠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분야로 꼽혔다. 단순히 한국 음식을 맛보는 것 이외에도 역사적·문화적·정서적인 측면까지 관심이 확대되면서, 한식은 그야말로 세계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식의 대표, 한식의 뿌리는 어디인가. 답을 찾는 데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지 않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맛의 고장’을 묻는다면 심중팔구 전라남도를 꼽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손맛과 정성 가득한 맛의 본고장, 청정바 다와 황금들녘이 키워낸 산해진미의 천국, 그곳은 누가 뭐래도 단연 전라남도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K-로 컬미식 33선’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6종(목포 홍어, 여수 갯장어, 담양 떡갈비, 무안 낙지, 완도 전복·김)의 남도미식이 선정됐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대한민국식 품명인 81명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명이 활동하는 등 전라남도는 명실상부 K-미식의 대표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전국 최초 미식 테마 정부 승인 박람회 전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