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교수신문' 선정 올해의 사자성어는 '공명지조'(共命之鳥)

불교경전에 등장하는 '한 몸에 두 개의 머리 가진 새'
어느 한 쪽이 없어지면 공멸하게 되는 '운명공동체' 의미

 

교수신문이 2019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공명지조'(共命之鳥)를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교수신문에 따르면 응답한 1,046명의 교수 가운데 347명(33%, 이하 복수응답)이 '공졍지조'를 선택했다.

 

공명지조는 '아미타경'(阿彌陀經)을 비롯한 많은 불교경전에 등장하는 '한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로,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목숨을 함께 하는 새'다.

 

서로가 어느 한 쪽이 없어지면 자기만 살 것 같이 생각하지만, 실상은 공멸하게 되는 '운명공동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교수신문은 설명했다.

 

불교경전에는 새는 한 머리는 낮에 일어나고 다른 머리는 밤에 일어나는데, 한 머리는 몸을 위해 항상 좋은 열매를 챙겨 먹자 다른 머리가 이를 질투해 독이든 열매를 몰래 먹고 두 머리 모두 죽게 됐다는 가 모두 죽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공명지조를 올해의 성어로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교수(철학과)는 교수신문에 "한국의 현재 상황은 상징적으로 마치 공명조를 바라보는 것만 같다. 서로를 이기려고 하고, 자기만 살려고 하지만 어느 한쪽이 사라지면 죽게 되는 것을 모르는 한국 사회에 대한 안타까움이 들어 선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공명지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선택을 받은 사자성어는 '어목혼주'(魚目混珠)였다. '어목'(물고기 눈)이 진주로 혼동을 일으켜 무엇이 어목이고 진주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가짜와 진짜가 마구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어묵혼주를 추천한 문성훈 서울여대 교수(현대철학과)는 "올해 우리사회에 가장 큰 충격을 준 사건은 누가 뭐래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에 대한 검찰 수사"라며 "대통령이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했던 조국과 윤석열 검찰총장 중 하나는 어목이거나 진주일 수 있고, 아니면 둘 다 진주이거나 어목일 수 있다. 그러나 아직은 판단하기 어렵다. 그래서 올해는 무엇이 진짜 어목이고 진주인지 혼동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교수신문에 추천 이유를 밝혔다.

 

지난해 교수신문의 '올해의 사자성어'는 '짐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라는 뜻의 '임중도원'(任重道遠)이었다.

 

한편 교수신문은 2001년부터 매년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벌여 한국사회를 반영하는 사자성어를  선정해 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주노총 카라지회 “카라 전진경 대표, 즉각 사퇴하라”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과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는 16일 “시민단체 해산 위기까지 몰아넣은 카라 전진경 대표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카라지회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7월 10일 열린 동물권행동 카라(이하 카라) 임시총회에서 카라 대의원 권은정 씨의 양심고백으로 전진경 대표의 충격적 비리행위가 밝혀졌다”면서 “전 대표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대로 총회를 유도하기 위해 사전에 카라 대의원에게 개인 연락을 취해 지지 발언을 청탁하고 거짓 정보까지 유포하는 등 비리 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카라 이사진은 2014년 성악가 조수미 명예이사의 기부금 및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마련한 카라 소유 마포구 건물(감정평가 41억)을 후원자들도 모르게 이사회 내부 결정만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에 “전국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이하 카라지회)가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번 임시총회가 급히 개최됐다”며 “사단법인 카라의 주무관청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는 ‘법인 목적 사업 수행에 관계되는 부동산 또는 동산’을 ‘기본재산’으로 규정해야 한다며 기본재산 미등록 자산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변경 절차를 진행할 것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