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7℃
  • 흐림강릉 14.7℃
  • 맑음서울 15.5℃
  • 맑음대전 14.9℃
  • 맑음대구 15.6℃
  • 맑음울산 15.5℃
  • 맑음광주 16.9℃
  • 구름조금부산 16.9℃
  • 맑음고창 13.1℃
  • 맑음제주 18.3℃
  • 맑음강화 10.3℃
  • 맑음보은 11.9℃
  • 맑음금산 12.1℃
  • 맑음강진군 13.7℃
  • 맑음경주시 13.0℃
  • 맑음거제 15.7℃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군인권센터 "육군 1사단, 코로나19 성금 강제로 모금했다"

간부들 모금 액수 적자 "개인주의 왜 이렇게 심하냐" 질책
병사까지 동원해 90만원 모금…동료나 가족에 돈 빌려 납부하기도

 

육군의 한 부대가 병사들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성금을 강제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군인권센터는 9일 "육군 1사단 장병과 진행한 인권침해 상담을 통해 1사단 예하 대대에서 모금 강요가 발생한 사실을 인지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6일 육군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경북지역 주민을 위해 육군 본부 차원에서 자율 모금한 성금 7억6,000만원을 기부한 바 있다.

 

센터에 따르면 당초 초급 간부 중심으로 구성된 한 중대는 간부들이 돈을 모아 15만원의 성금을 모금하자, 대대장이 "모금 홍보를 제대로 안 한 것 아니냐? 다른 중대와 금액 수준을 맞추어 오라"고 지시했다.

 

이에 중대 간부들은 다시 모금을 해 50만원을 마련했다. 그럼에도 대대장은 "간부가 몇 명이나 되는데, 성과상여금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개인주의가 왜 이렇게 심하냐? 너희 부대 수준은 이것밖에 되지 않는다"라고 질책했다.

 

결국, 병사들까지 동원돼 3차 모금이 이뤄졌고 90만원이라는 금액을 맞췄다. 이 과정에서 급하게 2, 3차 모금이 진행되면서 동료나 가족에게 돈을 빌려 납부하는 경우까지 발생했다고 센터는 주장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센터는 모금을 진행 당시 하달된 공문의 세부 행정 사항을 보면 연말정산 시 기부금 납입으로 조치하길 희망하는 간부에 한해 엑셀 파일에 소속, 성명, 납입금액을 정리하여 제출하게 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부대에서는 간부, 병사를 모두 포함해 누가, 얼마나 냈는지 의무적으로 차트로 만들어 제출하게 했다. 연말정산을 위한 행정 조치가 사실상 부대별, 개인별 성금 납부 현황에 대한 점검 수단이 된 셈이다.

 

센터는 "국군 장병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기본권을 제한당하고 있다. 그럼에도 시민의 안전과 부대원의 건강을 위해 이를 감내하며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부 부대의 부대장들이 '보여주기식 행정'을 벌이며 상부에 잘 보이기 위해 장병들의 얼마 되지 않는 급여를 강제로 갹출하는 사태가 발생하니 유감스러울 따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소식은 병사와 초급 간부들이 적은 월급에도 불구하고 성금을 많이 냈다는 미담이 아니라, 감염 확산 속에서 우리 군이 장병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기울이는 노력과 대책"이라며 "국방부는 예하 개별 부대에서 돈을 모금해 성금으로 지출하는 행위를 전면 재검토하고, 성금을 강제로 모금한 해당 부대장에게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