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근로자의 날’...직장인 56.4% 현 직장에 만족

직장 만족도, 대기업 > 공기업 > 중소기업 순

 

근로자의 날을 맞아 잡코리아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 만족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이 조금 넘는 직장인들이 현 직장생활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대기업 근무 직장인들의 경우 직장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1일 근로자의 날을 맞아 남녀 직장인 2,258명을 대상으로 '직장 만족도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잡코리아는 먼저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의 직장 만족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56.4%가 현재 재직 중인 직장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나머지 43.6%는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형태별로 살펴보면, 현재 재직 중인 직장에 만족한다는 답변은 △대기업 근무 직장인들이 71.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기업(66.8%) △외국계기업(64.5%) △중소기업(52.9%) 순이었다.

 

특히 직장생활 만족도를 10점 만점 기준으로 평가하게 한 결과, 직장인들이 평가한 현재 자신의 직장생활 만족 점수는 평균 6.6점인 것으로 집계됐다. 근무하고 있는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이 7.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기업과 △외국계기업이 각각 7.1점 △중소기업 6.4점 순이었다.

 

한편, 이번 잡코리아 조사 결과 직장인들의 직무 만족도는 58.1%로 10명 중 6명 정도가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직무별로 보면 △연구개발직군의 경우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71.0%가 현재 직무에 만족한다고 응답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전문직(68.3%) △IT/시스템직(61.8%) △생산/현장직(61.7%) △재무/회계직(61.6%)도 타 직무에 비해 비교적 직무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영업/영업관리직의 경우 현 직무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43.8%로 가장 낮았으며, 이 외에 △고객상담/텔레마케팅직(46.1%)  △의료/보건/사회복지(57.1%) △판매/서비스직(57.2%)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현재 직무에 만족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로는 △적성과 잘 맞아서가 36.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에 대한 성취감과 보람이 있어서(28.5%) △업무가 비교적 수월해서(19.3%) 순이었다. 반면 현재 직무에 불만족하고 있는 이유로는 △직무에 대한 불투명한 비전 때문이 21.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18.2%) △연봉이 낮아서(18.1%) △잦은 야근 등 업무량이 많아서(13.1%) △반복되는 업무가 지루해서(12.8%) △적성 및 꿈과 다른 업무라서(12.4%) 등의 이유가 있었다.

 

특히, 현재 ‘직무에 불만족한다’고 답한 직장인 51.6%는 ‘현재 이직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39.5%는 이직을 준비하고 있지는 않지만 좋은 제의가 들어오면 이직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중 84.3%는 현재 직무가 맞지 않아 직무전환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여성농민회총연합·전종덕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 촉구”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과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15일 ‘여성농민의 날’을 맞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성농민 법적 지위 보장 및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을 촉구했다. 국회 농해수위 위원인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이날 “농가인구의 51.1%, 농사일의 50.2% 등 여성농민이 농업농촌의 절반을 차지하는데도 법과 제도는 농가중심 구조에 머물러 정책결정 참여에 제한되거나 소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표적으로 정부에 여성농업인 전담부서가 임의조직으로 되어있고 농어업경영체에 공동경영주로 등록하더라도 법적 지위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법과 제도로 여성 농민의 법적 지위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설치,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여성농어업인 육성법’ 개정에 나서 농정의 중심에 여성 농민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회장은 “여성농민이 ‘한 사람의 농민’으로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법적 지위를 확보하는 것은 농업정책과 마을, 법인, 지자체 모든 영역에서 여성농민의 목소리가 정책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정치적 권리 문제인 만큼 전종덕 의원과 함께 법, 제도를 만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