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서울 거주 구직자 70.4%, ‘지방 취업도 괜찮다’

 

서울 거주 구직자 10명 중 7명은 지방으로 취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취업 의사가 있는 경우는 ‘서울이나 수도권에 비해 주거비용이 낮고 경제적으로 여유로울 것 같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꼽았다.

 

잡코리아가 알바몬과 함께 지역별 거주 구직자 1,668명을 대상으로 지방 취업 의사에 대해 조사를 진행해 4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구직자 78.1%가 ‘지방에 위치한 기업으로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거주 지역별로 보면, 지방 거주 구직자들의 경우 88.5%가 ‘지방에 있는 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밝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기 및 수도권 거주 구직자, 73.6% △서울 거주 구직자도 70.4%가 ‘지방에 있는 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성별로는 남성구직자들이 81.1%로 여성구직자 75.7%에 비해 지방 취업 의사가 더 많았으며, 연령대별로는 △20대(82.9%) △30대(76.4%) △40대(70.3%) △50대 이상(68.1%) 순으로 조사됐다.

 

‘지방에 위치한 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복수응답) △서울 및 수도권에 비해 주거비용이 낮고 경제적인 여유가 있기 때문이 응답률 44.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특별히 근무지역과 기업규모를 따지지 않고 취업준비를 하고 있다(30.7%) △출신 지역이어서 오히려 더 편하고 좋다(29.0%) △치열한 서울 직장생활에서 벗어나 좀 더 여유 있는 직장생활을 하고 싶다(26.1%) △지방기업에서는 비교적 역량 있는 업무를 맡아 성장 기회가 더 많다(21.0%) 등의 응답이 있었다.

 

특히 현재 거주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서울 거주 구직자들의 경우는 △서울에 비해 주거비용이 낮고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서 지방 취업을 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 응답자가 53.4%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치열한 서울 직장생활을 벗어나고 싶기 때문도 응답률 35.9%로 높아 차이가 있었다.

 

반면, 지방 거주 구직자들의 경우는 △출신지역이기 때문에 지방 취업이 더 편하고 좋다는 응답이 53.1%로 1위를 차지했다. 수도권 지역 구직자들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거비용(39.2%) 외에도 △특별히 근무지역을 따지지 않고 취업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이 34.1%로 타 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반면, 지방 기업에 취업하고 싶은 의사가 없는 구직자들의 경우는 △’외지 생활을 해야 하고 생활 여건이 여러 가지로 불편해서 꺼려진다’가 응답률 61.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서울.수도권 기업에 비해 복지수준이나 근무환경이 열악하기 때문(25.8%)  △자녀 교육 문제 등 가족과 떨어져서 지내야 하기 때문(25.2%)  △서울.수도권 기업에 비해 연봉이 낮기 때문(13.3%) 등의 이유가 있었다.

 

특히 서울 거주 구직자들의 경우는 △외지생활로 오는 불편함 때문에 지방 취업을 기피하는 경우가 응답률 77.6%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지방 거주 구직자들의 경우는 △지방기업의 성장 한계(41.0%)나 △서울.수도권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근무환경(31.1%) 때문에 지방취업을 기피하는 경우가 1,2위를 차지해 차이가 있었다.

 

이번 잡코리아X알바몬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지방 기업의 인력 수급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에 대해 물은 결과(*복수응답), △지방 기업의 대폭적인 근무환경 및 복지수준 개선이 응답 60.4%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서울.수도권 기업과 동등한 연봉수준(40.6%)  △생활.문화시설 등 환경 인프라 개선(30.9%)  △대기업 및 협력 중소기업들의 각 지방 이전(17.9%) △유망기업 홍보 및 지방 기업의 장점 부각 등을 통한 구직자 인식개선 유도(17.4%)  △인턴제 등 산학협력 시스템 강화(7.3%) 등의 의견이 있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