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2.8℃
  • 흐림강릉 11.6℃
  • 흐림서울 14.9℃
  • 흐림대전 13.0℃
  • 흐림대구 10.9℃
  • 흐림울산 16.8℃
  • 흐림광주 16.1℃
  • 흐림부산 17.8℃
  • 흐림고창 16.7℃
  • 제주 19.4℃
  • 흐림강화 13.2℃
  • 흐림보은 11.4℃
  • 흐림금산 9.9℃
  • 흐림강진군 16.7℃
  • 흐림경주시 11.5℃
  • 흐림거제 17.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62.7% “경제적으로 불안정하다 느껴”… 알바생, 취준생은?

직장인 5명 중 3명이 “경제적으로 불안정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직업을 가지고 있는 직장인조차 경제적 불안감을 호소하는 가운데 알바생과 취준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은 더욱 컸다.

 

잡코리아가 최근 알바몬과 함께 직장인과 알바생, 취준생 등 2,327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경제상황’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잡코리아-알바몬은 먼저 응답자들에게 ‘경제적 안정감을 느끼고 있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매우 불안정하다’ 26.6%, ‘불안정한 편이다’ 49.1% 등 불안정하다는 응답이 75.7%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다’는 22.0%로 낮았으며 ‘매우 안정된 상태’라는 응답은 겨우 2.3%를 얻는 데 그쳤다. 이처럼 경제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응답은 이미 직장을 다니고 있는 직장인에게서조차 62.7%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아르바이트로 수입을 거두는 알바생들도 70.1%로 높았으며, 마땅한 수입처가 없는 취준생들의 경우 87.6%로 크게 높았다.

 

경제적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는 응답군별로 달랐다. 먼저 직장인들은 ‘이전에 비해 월 소득이 줄어서’가 23.2%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월세, 대출이자, 관리비 등 고정지출이 큰 편이라(18.4%)’가, 3위는 ‘경제적으로 도움을 얻거나 기댈 곳이 없어서(15.8%)’가 차지했다. 반면 알바생들은 ‘경제적으로 도움을 얻거나 기댈 곳이 없어서(20.7%)’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구직에 실패해서(19.6%)’와 ‘이전에 비해 월 소득이 줄어서(18.0)’가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취준생들은 ‘구직에 실패해서’가 63.0%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반면 경제적 안정감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취업, 이직, 알바 등 구직에 성공해서(24.2%)’를 1위에 꼽았다. 2위는 ‘부모님, 배우자 등 경제적으로 도움을 얻을 곳이 있어서(19.6%)’가, 3위는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월 소득에 변화가 없어서(14.0%)’가 각각 차지했다.

 

코로나19 이후 경제적으로 느끼는 압박감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알바몬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44.6%가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압박감이 크게 늘었다’고 답했으며 ‘어느 정도 늘었다’는 응답도 34.6%로 적지 않았다. ‘전과 다를 바 없다’는 응답은 17.6%에 그쳤으며 ‘줄었다(2.1%)’ 및 ‘사라졌다(1.1%)’는 모두 합쳐 3%에 그쳤다.

 

이러한 경제적 불안감 속에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0%가 “나는 캥거루족”이라 답해 눈길을 끌었다. 캥거루족이란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하지 못하고 인지적, 경제적으로 부모님께 의지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신조어다. 잡코리아 조사 결과 직장인의 35.7%, 알바생 47.3%가 스스로를 캥거루족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취준생들의 경우 그 비중이 58.7%로 눈에 띄게 높았다. 특히 자신이 캥거루족이라고 답한 응답자 3명 중 1명은 ‘코로나19 이후 캥거루족이 됐다’고 답하기도 해 코로나19 이후 경제상황 변화를 실감케 했다.

 

한편 직장인과 알바생, 취준생 10명 중 9명은 코로나19 이후 직장관에 변화를 겪었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이후 두드러진 직장관의 변화(*복수응답, 이하 응답률)로는 ‘안정적으로 오래도록 일할 수 있는 일이 최고(55.2%)’가 1위를 차지했다. 또 ‘언제 일을 그만두더라도 새로운 일을 찾을 수 있게 준비돼 있어야 한다(37.5%)’, ‘불황에 그덕 없을 정도의 안정되고 탄탄한 기업이 최고다(31.2%)’가 차지하는 등 고용불안과 맞닿은 응답이 상위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이렇다 하게 알아주는 직장보다 당장 얼마라도 더 버는 일이 중요하다(29.5%)’, ‘주수입 외 부수입을 얻을 수 있도록 부업, 투잡 의향이 생겼다’가 차례로 5위 안에 들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고용 유형, 기업 규모와 관계 없이 할 일이 생기면 일한 의사가 있다(12.9%)’, ‘경제적 안정을 위해 워라밸은 기꺼이 포기할 수 있다(9.3%)’ 등이 있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