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이 백제 시대 금동신발 두건에 대해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16일 밝혔다.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이날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을 각각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1,500여 년 전 한국 고대인들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5~6세기 백제 금속공예 기술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모두 백제 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삼국 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다.

고창 봉덕리 1호분 금동신발은 장례 때 의례용으로 사용된 신발로, 백제 시대의 전형적인 형태와 문양을 보여주는 금속공예품이다.
또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사후영생(死後永生)을 기원하는 고대인들의 세계관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문양이 정교하고 세밀하게 표현돼 있어 조형적인 가치가 높은 것으로 문화재청은 판단했다.
특히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고창 봉덕리 금동신발에 비해 조금 늦은 5세기 후반경에 제작돼, 6세기 무령왕릉 출토 금동신발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단계를 보여주는 공예품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금동신발 자체는 고구려·백제·신라·가야 등 삼국 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이다. 비슷한 시기의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일본에서는 구마모토현에 있는 6세기 에다후나야마(江田船山) 고분, 오사카시(大阪市) 이치스카(一須賀) 고분, 시가현(滋賀縣) 등에서 출토된 바 있지만, 우리나라의 금동신발이 전래된 것이다.
문화재청은 두건의 금동신발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