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기업, 작년 ‘직원 퇴사율’ 평균 13.8%

-작년 직원 퇴사율, 대기업 8.6% vs 중소기업 14.9%
-퇴사이유, 대기업 ‘스카우트 받아서(48.6%)’ vs 중소기업 ‘연봉 높이기 위해(47.5%)’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기업들의 ‘직원 퇴사율’이 예년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플랫폼 잡코리아는 국내기업 402개를 대상으로 ‘2020년 직원 퇴사율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난해 기업들의 직원 퇴사율이 평균 13.8%로 조사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동일기업의 예년 평균(9.8%)에 비해 4.0%P 높은 수준이다.

 

직원 퇴사율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소폭 높았다. 대기업의 지난해 직원 퇴사율은 평균 8.6%로 예년(8.1%)과 비슷한 수준으로 집계됐으나, 중소기업의 직원 퇴사율은 14.9%로 예년(10.2%)에 비해 4.7%P 상승했다.

 

퇴사하는 직원이 기업에 밝힌 퇴사이유 중에는 ‘연봉을 높여 이직하기 위해’가 응답률 47.2%로 가장 많았다. 이어 ‘타 기업으로부터 스카우트 제안을 받아서(29.0%)’ 또는 ‘커리어 관리를 위해(28.5%)’ 라고 퇴사이유를 밝힌 경우가 많았다.

 

특히 대기업 직장인 중에는 ‘타 기업에서 스카우트 제안을 받아서’ 퇴사한 경우가 48.6%(응답률)로 절반에 가까운 수준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연봉을 높여 이직하기 위해(45.8%) △커리어 관리를 위해(30.6%) 퇴사한 경우가 많았다. 

 

중소기업 직장인 중에는 ‘연봉을 높여 이직하기 위해’ 퇴사한 경우가 47.5%(응답률)로 가장 많았고, 이어 △커리어 관리를 위해(28.1%) △복지제도에 만족하지 못해(26.0%) △타 기업으로부터 스카우트 제안을 받아서(24.8%) 순으로 퇴사한 경우가 많았다.

 

이 외에 ‘인력 구조조정으로’ 퇴사한 경우도 전체 응답 중 16.7%(응답률)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답변은 대기업(12.5%) 보다 중소기업(17.6%)이 소폭 높았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보내고 싶지 않은 인재가 퇴사 의사를 밝히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기업 10곳중 7곳(71.7%)은 ‘퇴사의사를 밝힌 직원의 퇴사를 막아 다시 근무하도록 했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직원의 퇴사를 막았던 기업의 노하우 1위는 ‘연봉인상 제안’으로 나타났다.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연봉인상을 제안해서’ 직원의 퇴사를 막았다는 인사담당자가 50.0%(응답률)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원하는 직무(팀)로 직무전환을 제안(34.9%)’하거나 ‘높은 인센티브를 제안(30.8%)’해서 직원의 퇴사를 막았다는 답변이 높았다.

 

특히 대기업 중에는 ‘원하는 직무(팀)로 직무전환을 제안(37.5%)’하거나 ‘높은 인센티브를 제안(37.5%)’해서 직원의 퇴사를 막았다는 답변이 가장 높았고, 중소기업 중에는 ‘연봉인상을 제안(54.9%)’해서 직원의 퇴사를 막았다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

 

잡코리아 변지성 팀장은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핵심인재의 충원이 필요한 기업들의 채용수요가 발생해, 직장을 옮기는 직장인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전북서 첫 온열질환 사망…"구봉산 오르던 중 의식 잃어"
전북에서 올해 들어 처음으로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발생했다. 7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날까지 도내에서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총 62명에 달한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열탈진이 2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열경련 16명, 열사병 11명, 열실신 9명, 기타 1명 순이었다. 이번에 숨진 50대 남성은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진안 구봉산을 오르던 중 의식을 잃었다. 구조 당시 고막 체온이 40.5도로 측정됐으며, 결국 사망 판정을 받았다. 이는 올해 전북에서 보고된 첫 온열질환 사망 사례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환자가 16명으로 비중이 높았고, 성별로 보면 남성이 56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발생 장소는 대부분 논밭이나 실외 작업장 등 야외였다. 도 관계자는 “낮 시간대 야외 활동이 온열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폭염 시 준수해야 할 건강 수칙으로 ▲충분한 물 섭취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 야외 활동을 가급적 삼가기 ▲고령층과 만성질환자는 동반자와 함께 움직이기를 권고했다. 황철호 전북도 복지여성보건국장은 “폭염은 단순한 계절 현상이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재난으로 봐야 한다”며 “무더운 날씨에는 개인 건강 수칙을 철저히 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