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LH 임직원의 투기 행위로 논란이 되는 광명·시흥을 포함한 3기 신도시 추가 지정을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 정도는 '적절하다'라고 평가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5일 YTN '더뉴스' 의뢰로 광명·시흥 등 3기 신도시 추가 지정 철회 주장에 대한 적절성을 조사한 결과 '적절하다'라는 응답이 57.9%(매우 적절함 43.4%, 어느 정도 적절함 14.5%)로 조사됐다.
'부적절하다'라는 응답은 34.0%(전혀 적절하지 않음 18.3%, 별로 적절하지 않음 15.7%)였다.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8.1%였다.
'적절하다'는 의견은 대전·세종·충청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우세했다.
인천·경기(적절 65.2% vs. 부적절 26.1%)와 광주·전라(63.8% vs. 30.9%), 부산·울산·경남(63.1% vs. 33.6%)에서는 '적절하다'라는 응답이 60%대로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또 서울(56.8% vs. 36.1%)과 대구ㅍ경북(54.1% vs. 35.6%)에서도 '적절하다'라는 응답이 다수였다.
반면 대전·세종·충청에서는 다른 지역과 달리 '적절' 37.4%, '부적절' 48.9%로 부정적인 응답이 더 높았다.
대부분 연령대에서도 3기 신도시 추가 지정을 철회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30대(적절 64.2% vs. 부적절 29.0%)와 20대(60.9% vs. 32.2%), 40대(59.8% vs. 30.2%), 60대(58.8% vs. 33.0%), 50대(56.6% vs. 34.1%) 순으로 '적절하다'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고, 70세 이상에서는 '적절' 44.2%, '부적절' 49.2%로 팽팽했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중도층은 '적절' 66.0%, '부적절' 28.1%였고, 보수층은 '적절' 58.1%, '부적절' 36.2%, 진보층 '적절' 52.4%, '부적절' 39.2%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9,112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 5.5%,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