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0℃
  • 흐림강릉 11.6℃
  • 흐림서울 13.1℃
  • 흐림대전 10.2℃
  • 박무대구 9.1℃
  • 구름많음울산 15.3℃
  • 구름많음광주 13.0℃
  • 구름많음부산 16.7℃
  • 흐림고창 11.4℃
  • 흐림제주 18.0℃
  • 흐림강화 11.9℃
  • 흐림보은 7.4℃
  • 흐림금산 7.1℃
  • 흐림강진군 12.4℃
  • 흐림경주시 7.3℃
  • 흐림거제 16.2℃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대학생이 알바를 고르는 기준 3위 ‘돈’...1위는?

 

대학생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려는 사장님이라면 근무 시간대를 다양하게 스케줄링 하는 것이 채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알바몬 조사 결과, 대학생들은 '돈'보다 ‘원하는 시간만큼’ 일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몬은 최근 남녀 대학생 555명을 대상으로 '겨울 방학 아르바이트 계획'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해 그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들에게 올겨울 방학 기간에 아르바이트를 할 계획이 있는지 묻자 대학생 10명 중 9명에 해당하는 93.7%가 '아르바이트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일자리를 고르는 기준 첫 번째로 '부당대우 없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가(22.9%)'를 꼽았고, 근소한 차이로 '원하는 요일과 시간만큼 일할 수 있는가(21.0%)'도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중요한 기준이라고 답했다. 알바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자리 선택 기준 세 번째는 '원하는 만큼 적정 수준의 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18.8%)' 였다.

 

이외에도 대학생들은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인가(6.7%) △이 일을 통해 배울 게 있는가(6.7%) △근무 환경이 안락한가(6.2%) △근무지의 위치가 가까운가(5.4%)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일인가(5.0%) 등의 조건을 따져 아르바이트 일자리를 구한다고 답했다.

 

한편,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겨울 알바는 '따뜻한 근무지 알바'인 것으로 조사됐다.

 

알바몬이 올겨울 방학 기간 동안 아르바이트를 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대학생들에게 선호하는 알바 유형을 묻자, 10명 중 4명(41.7%)이 따뜻하고 쾌적한 공간에서 일할 수 있는 알바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종류 상관없이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알바(21.0%) △또래 친구들이 많아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알바(16.7%) △스펙 쌓기나 진로 결정에 도움되는 알바(15.8%) △스키장 알바 등 겨울 시즌 특수 알바(3.5%) 순으로 선호하는 겨울 알바 유형을 선택했다.

 

대학생들이 겨울 방학 기간 동안 아르바이트로 벌고 싶은 수입은 백만원을 조금 웃도는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알바몬이 개방형으로 희망 수입을 질문한 결과, 한 달 평균 1,094,577만원으로 집계됐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