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하반기 취준생 “평균 6.1회 지원해 1.4회 서류합격”

 

신입 구직자들은 올 하반기에 평균 6.1회 입사지원 해 1.4회 서류합격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반기 취업지원을 했던 기업은 중견기업과 대기업이 비교적 많았으며, 서류전형 합격통보를 받은 곳은 중소기업이 가장 높아 차이가 있었다.

 
잡코리아가 올 하반기 입사지원 활동을 한 신입 구직자 6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구직자들은 평균 6.1곳의 기업에 입사지원을 했으며, 이들 기업 중 서류전형 합격통보를 받은 곳은 평균 1.4곳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5일 밝혔다.

 

입사지원 횟수를 구간 별로 살펴보면 3곳 미만(31.6%)’으로 지원했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3곳~5곳 미만(29.9%) △5곳~7곳 미만(15.1%) △19곳 이상(7.6%) △9곳~11곳 미만(5.5%) 등의 순이었다.

 

다음으로 신입 구직자들이 지원한 기업 형태는(*복수응답) △중견기업이 응답률48.8%로 가장 많았으나, △대기업(44.5%) △중소기업(40.7%)에 지원한 비율도 크게 차이는 없었다. 이 외에 △공기업/공공기간 28.0% △외국계 기업 15.7% 순이었다.

 

하지만, 서류전형 합격통보를 받은 기업은(*복수응답) △중소기업이 응답률 41.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견기업(33.9%) △대기업(29.9%) △공기업/공공기관(27.2%) △외국계기업(12.2%) 순이었다.

 

서류전형 합격 횟수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모두 불합격’이 38.2%로 전체의 3분의 1을 넘어 눈길을 끌었다. 다음으로 △1곳(21.1%) △2곳(15.6%) △3곳(11.6%) 등의 순으로 합격했다는 답변이 많았다.

 

서류전형에서 ‘모두 불합격’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복수응답) △타 경쟁자에 비해 나의 스펙이 부족한 거 같아서가 응답률 54.8%로 절반 이상이 넘었으며, 다음으로 △경쟁률이 너무 높거나 하반기 채용인원이 적어서(41.5%) △인턴/대외활동 등 직무 관련 경험이 부족해서(36.7%) △자기소개서/이력서 준비가 부족해서(35.5%) △기업 정보 수집 및 분석이 부족해서(16.9%) 등을 꼽았다(*복수응답).

 

한편, 이번 잡코리아 조사에 참여한 신입 구직자 32.0%는 취업만 된다면 일단 어디든 입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68.0%는 목표기업을 정해두고 취업준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 연말까지 목표로 한 기업에 취업이 되지 않을 경우 △일단 합격한 곳에 입사한 뒤 재취업을 준비하겠다는 구직자가 44.8%로 가장 많았으며, △어느 기업이든 합격하는 곳으로 취업하겠다(31.4%) △취업재수를 해서라도 목표 기업에 취업하겠다(15.9%) △취업 대신 다른 길을 찾아보겠다(6.0%) 등의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