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9.7℃
  • 박무서울 9.7℃
  • 박무대전 8.5℃
  • 박무대구 9.1℃
  • 박무울산 10.4℃
  • 박무광주 11.5℃
  • 맑음부산 14.4℃
  • 구름조금고창 9.1℃
  • 구름많음제주 17.1℃
  • 맑음강화 7.5℃
  • 구름많음보은 5.0℃
  • 구름조금금산 5.6℃
  • 맑음강진군 8.9℃
  • 맑음경주시 7.5℃
  • 구름조금거제 11.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출퇴근 소요시간 '1시간 24분'

 

직장인들이 출퇴근을 위해 소요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24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어 길 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이들은 경기권에 사는 직장인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는 최근 남녀 직장인 907명을 대상으로 출근과 퇴근을 위해 얼마의 시간을 사용하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평균 1시간 24분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거주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권에 사는 직장인들의 출퇴근 소요 시간이 평균 1시간 42분으로 가장 길었다. 서울에 사는 직장인들은 평균 1시간 19분을, 지방 거주 직장인들은 61분을 출퇴근에 사용하고 있었다.

 

직장인들에게 출퇴근 길에 느끼는 피도로를 점수로 환산(*100점 만점 기준)하게 해 봤다. 그 결과 출퇴근 시간이 가장 긴 경기권 거주 직장인들의 피로도가 74점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과 지방 거주 직장인들이 환산한 출퇴근 피로도 점수는 71점으로 집계됐다.

 

직장인들이 출퇴근에 이처럼 높은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복수응답으로 꼽아보게 한 결과, 오늘도 어김없이 출근이라는 현실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의견이 응답률 6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출퇴근길 스트레스 요인 두번째는 거주 지역에 따라 달랐다. 서울과 경기권 직장인들은 사람이 너무 많은 만원 버스와 지하철(44.7%, 39.6%)'을, 지방 거주 직장인들은 늘 모자란 몇 분, 지각할 까봐 아슬아슬한 긴장감(34.7%)을 꼽았다. 또 경기권 직장인들 중에는 회사와 집의 거리가 너무 멀어(39.3%) 피로감이 높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외에도 직장인들의 출퇴근길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는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답답함(27.2%) △꽉 막힌 도로사정(28.3%) △백팩 어택, 쩍벌 탑승자 등 가지각색 민폐 승객(11.2%)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긴 시간, 스트레스 받으며 출퇴근해야 하는 직장인들은 무엇을 하며 그 시간을 달랠까? 조사 결과, 음악을 듣는 다는 의견이 응답률 5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영상 시청(28.4%)과 운전과 걷기 등 이동 자체에 집중한다(25.4%)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모바일 메신저, 문자(25.1%) △잠자기, 휴식(25.0%) △웹소설, 웹툰 등 e-book 독서(14.8%) △모바일 게임(11.4%) 등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출퇴근 수단은 자차 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는 의견이 훨씬 많았다. △직접 운전해 출퇴근한다고 답한 이들은 19.3%였고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한다는 직장인은 각 31.3%와 21.1%를 차지했다. 지하철과 버스를 모두 이용한다는 직장인은 18.2%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