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출퇴근 소요시간 '1시간 24분'

 

직장인들이 출퇴근을 위해 소요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24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어 길 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이들은 경기권에 사는 직장인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는 최근 남녀 직장인 907명을 대상으로 출근과 퇴근을 위해 얼마의 시간을 사용하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평균 1시간 24분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거주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권에 사는 직장인들의 출퇴근 소요 시간이 평균 1시간 42분으로 가장 길었다. 서울에 사는 직장인들은 평균 1시간 19분을, 지방 거주 직장인들은 61분을 출퇴근에 사용하고 있었다.

 

직장인들에게 출퇴근 길에 느끼는 피도로를 점수로 환산(*100점 만점 기준)하게 해 봤다. 그 결과 출퇴근 시간이 가장 긴 경기권 거주 직장인들의 피로도가 74점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과 지방 거주 직장인들이 환산한 출퇴근 피로도 점수는 71점으로 집계됐다.

 

직장인들이 출퇴근에 이처럼 높은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복수응답으로 꼽아보게 한 결과, 오늘도 어김없이 출근이라는 현실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의견이 응답률 6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출퇴근길 스트레스 요인 두번째는 거주 지역에 따라 달랐다. 서울과 경기권 직장인들은 사람이 너무 많은 만원 버스와 지하철(44.7%, 39.6%)'을, 지방 거주 직장인들은 늘 모자란 몇 분, 지각할 까봐 아슬아슬한 긴장감(34.7%)을 꼽았다. 또 경기권 직장인들 중에는 회사와 집의 거리가 너무 멀어(39.3%) 피로감이 높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외에도 직장인들의 출퇴근길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는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답답함(27.2%) △꽉 막힌 도로사정(28.3%) △백팩 어택, 쩍벌 탑승자 등 가지각색 민폐 승객(11.2%)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긴 시간, 스트레스 받으며 출퇴근해야 하는 직장인들은 무엇을 하며 그 시간을 달랠까? 조사 결과, 음악을 듣는 다는 의견이 응답률 5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영상 시청(28.4%)과 운전과 걷기 등 이동 자체에 집중한다(25.4%)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모바일 메신저, 문자(25.1%) △잠자기, 휴식(25.0%) △웹소설, 웹툰 등 e-book 독서(14.8%) △모바일 게임(11.4%) 등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출퇴근 수단은 자차 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는 의견이 훨씬 많았다. △직접 운전해 출퇴근한다고 답한 이들은 19.3%였고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한다는 직장인은 각 31.3%와 21.1%를 차지했다. 지하철과 버스를 모두 이용한다는 직장인은 18.2%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서가 승인해 놓고 불법이라고?...국민혈세 400억 낭비될 위기
일선 경찰서의 승인 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경찰청 본청이 ‘불법’으로 규정하고 철거를 지시하면서 최소 400억 원 이상의 국민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진행된 국감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경찰청의 정책 혼선은 지난 1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전국 지자체들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 위험 교차로 등에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스마트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를 확대해왔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자체는 관할 경찰서에 협의를 요청했고, 일선 경찰서들은 "사고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등의 공문을 보내 사실상 설치를 승인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경찰청은 2024년 8월, 돌연 전국 시·도 경찰청에 “전국 통일된 규격과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며 추가 설치를 중단하라는 공문을 하달했다. 그리고 1년 뒤인 2025년 7월, 해당 시설물이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켜 교통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표준 규격으로 ‘불채택’ 결정을 내렸다. 심지어 경찰청은 불채택 결정 바로 다음 날에 이미 설치된 시설물들이 「도로교통법」에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