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1.7℃
  • 흐림강릉 13.2℃
  • 구름많음서울 20.8℃
  • 흐림대전 16.7℃
  • 대구 14.9℃
  • 울산 13.0℃
  • 흐림광주 16.8℃
  • 흐림부산 16.5℃
  • 흐림고창 12.0℃
  • 박무제주 13.9℃
  • 구름많음강화 20.2℃
  • 흐림보은 16.2℃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4.6℃
  • 흐림경주시 13.2℃
  • 흐림거제 16.0℃
기상청 제공

정보


서울시, 작년 한해 종량제 쓰레기 소각해 17만 가구 에너지 생산

돈으로 환산시 1600억원 상당

 

서울시는 작년 한해 수거한 종량제 쓰레기를 소각해 17만 가구가 1년간 사용가능한 난방 에너지를 생산했다고 밝혔다. 현재 추진 중인 마포 광역자원회수시설 가동 시 9만가구의 1년 난방에너지를 더 생산할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15일 서울시는 4개 광역자원회수시설을 통해 생활폐기물을 소각해 생산한 난방 에너지가 지난해 기준 117만Gcal에 달한다고 밝혔다. Gcal는 1g 물을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단위다.

 

한국지역난방공사 추산 전용면적 85㎡ 가구당 연간 소모 난방 에너지는 6.69Gcal다. 서울시가 작년 생활폐기물 소각으로 17만 가구의 1년 난방 에너지를 생산한 것이다. 추산된 수입대체 효과만 1600억원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국내 유일 석유자원 생산 시설인 동해 가스전이 재작년 가동을 멈춘 이후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서울시는 현재 추진 중인 마포 광역자원회수시설 가동 시 60만Gcal 에너지를 더 생산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를 돈으로 환산하면 820억원에 달한다.

 

김권기 서울시 자원회수시설추진단장은 “생활폐기물 3톤을 소각하면 한 가정이 1년간 난방열로 소비하는 화석연료 수입 대체가 가능하다”며 “자원회수시설은 에너지 위기 시대에 경제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시설로 확충에 대한 시민의 협조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GS건설 "안전해" vs 주민들 "불안"...'펑' 하더니 기둥 일부 날아간 서울역 센트럴자이
전날(21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1층 건축물 하단부 기둥 대리석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는 신고가 경찰과 소방에 접수됐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펑' 소리와 함께 아파트가 흔들렸다는 글과 함께 기둥 외벽 일부가 떨어져 나간 모습, 아파트 곳곳에 균열이 생긴 모습의 사진들이 올라왔다. 이에 기자는 22일 오전 해당 현장을 직접 찾았다. 파란색 천막으로 가려진 파손지점에는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펜스나 가림막도 설치돼있지 않았고 현장을 관리하는 관계자도 없었다. 등교 시간 어린이들이 언제든 호기심에 파손 현장에 들어올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다.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파손이 발생한 아파트 위치를 묻는 기자 질문에 “알려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서울역 센트럴자이 내 파손 현장은 동굴처럼 깜깜해 플래시나 전등을 켜지 않으면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휴대폰 카메라 플래시를 켜고 본 현장에는 파손된 천장과 비내력벽(자체 하중만 받고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지 않는 벽)이 파란색 천막으로 가려져 있었고 천장에서 낙하한 타일과 파손된 비내력벽 조각들이 한곳에 정리돼 있었다. 현장을 지나가던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입주민 A씨는 기자에게 “연일 나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