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전문의도 지역간 불균형 심각 ...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필수의료 붕괴 우려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 주요 필수과목 전문의 지역격차 악화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지역별 인구 1만 명당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이하 : 주요 필수과목) 활동 전문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주요 필수과목 전문의 분포가 불균형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필수과목의 인구 만 명당(이하 생략) 활동 전문의 수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서울 5.20명, ▲광주 4.92명, ▲대구 4.70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과 광주는 2013년 대비 22년 증가량도 각각 ▲0.95명, ▲0.76명으로 상위권이었다.

 

2022년 기준 주요 필수과목의 전문의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북 2.78명, ▲충남 3.08명, ▲충북 3.12명 순 이었으며, 2013년 대비 증가량도 ▲경북 0.08명, ▲충남 0.30명 순으로 가장 적었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2022년 기준 인구 만명당 활동 흉부외과 전문의는 ▲대전 0.34명, ▲서울 0.31명, ▲제주 0.28명 순으로 많았다. 대전은 2013년에도 0.28명으로 16개 시도 중에 가장 많았는데, 13년 대비 22년 증가량도 0.06명으로 2위에 속했다.

 

2022년 기준 흉부외과 전문의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기 0.16명, ▲충남 0.18명, ▲인천 0.18명 이었으며, 충남은 2013년 대비 증가량도 0.01명으로 16개 시도 중 가장 적었다.[표2]

 

산부인과 전문의의 경우 2022년 기준, ▲서울 1.7명, ▲광주 1.48명 ▲부산 1.44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과 광주는 13년 대비 증가량도 각각 0.25명, 0.16명으로 많았다.

 

2022년 기준 산부인과 의사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북 0.78명, ▲충북 0.88명, ▲충남 0.88명 순 이었다. 특히, 경북은 2013년에도 산부인과 전문의가 0.8명으로 가장 적었는데, 이 당시 보다 오히려 0.02명 더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경우 2022년 기준, ▲광주 1.63명, ▲대구 1.49명, ▲서울 1.47명 순으로 많았다. 특히, 대구는 2013년 대비 증가량이 0.29명으로 전체 16개 시도 중에서도 두 번째로 많은 도시이다.

 

2022년 기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북 0.73명, ▲전남 0.85명, ▲충남 0.89명 순 이었다. 경북과 전남은 13년 대비 증가량도 각각 0.06명, 0.14명으로 가장 적었다.

 

외과 전문의의 경우 2022년 기준, ▲서울 1.72명, ▲대구 1.61명, ▲광주 1.57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과 광주는 2013년대비 증가량도 각각 0.4명, 0.28명으로 16개 시도 중에 상위권이었다.

 

2022년 기준 외과 전문의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기 0.99명 ▲경북 1.07명 ▲충북 1.07명 순 이었으며, 경북은 2013년 대비 증가량도 0.02명으로 16개 시도 중에 가장 적었다.

 

이에 신현영 의원은 “필수의료 붕괴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지역별 의료인력의 불균형 격차가 더욱 심각해지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며,“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대란 등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잃는 상황을 재연하지 않기 위해, ‘지역 필수의료 전문의 육성 및 지원 정책’을 우선 순위로 하여 국가에서는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