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18.8℃
  • 구름조금강릉 21.1℃
  • 맑음서울 20.9℃
  • 구름많음대전 20.9℃
  • 구름많음대구 23.3℃
  • 구름많음울산 21.9℃
  • 구름많음광주 21.5℃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19.5℃
  • 흐림제주 21.5℃
  • 맑음강화 17.4℃
  • 흐림보은 17.5℃
  • 구름많음금산 20.2℃
  • 구름많음강진군 19.8℃
  • 구름많음경주시 19.3℃
  • 구름많음거제 19.4℃
기상청 제공

문화


유엔 손길 잊지 않는 보은 정신(2)

유엔 산하 구호 기구들과 여러 민간단체도 한국인의 구호 활동에 나섰다. 국제난민기구(IRO)는 피복과 재봉틀, 기계류, 의료품을 전달했고, 유엔아동기금인 UNICEF는 우유와 담요, 피복류를, WHO는 의약품을 구호품으로 지원했다. 더불어 특기한 사항으로 미국의 기독교와 사회봉사 단체들의 구호 물품이 많았다는 점이다.

 

 

기독교 자선단체인 CWS는 미국 내 37개 기독교 단체의 연합조직으로 비타민과 피복류를 지원했다. 가톨릭 구호단체인 NCWC와 미국 퀘이커 기독교 자선기관인 AFSC도 구호품을 전쟁 중에 보내왔다. 미국의 민간국제구호단체인 CARE는 전쟁 기간뿐만 아니라 전쟁이 끝난 뒤에도 1966년까지 아동 급식과 농촌 지역 식량 배급 등에 총 4천만 달러를 지원했다.

 

미국에서는 순전히 전쟁 피해를 입고 있는 한국인만을 위해 일반 시민과 노동자, 교회 대표자들이 결성한 ARK Inc(Relief for Korea, Incorporated)란 민간구호단체도 있었다.

 

◇ 휴전 이후 경제 재건과 개발에서도 유엔의 도움 컸다

 

유엔한국민사지원사령부는 전쟁 후에는 한국민사지원처 (KCAC)로 변경되었다. 1953년 7월부터 활동을 개시한 민사지원처는 농업, 통신, 전력, 공중보건, 사회복지, 철도와 도로 복구 등 8개 분야에 걸쳐 6천여 명의 유엔 파견인들이 활동했다.

 

한국은 1961년 유엔 전문기구인 국제개발협회(IDA)에 가입했다. 한국은 이곳으로부터 철도 객차 도입 차관 등을 지원받았다. 1963년 유엔개발계획(UNDP), 1964년 유엔 특별기금에도 가입해 원조를 이끌어냈다. 한국전쟁 이후 유엔이 행한 경제 재건과 근대화 사업은 UNDP를 주축으로 시행됐다.

 

UNDP는 1965년 서울사무소를 설치하면서 본격적인 지원 활동을 펼쳤다. UNDP의 창설 목적은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UNDP는 한국에서 1963년부터 2009년까지 270개가 넘는 지원사업을 펼쳤다. 사업은 주로 농림수산업과 경공업 분야에 집중됐다.

 

1960년대 당시 한국은 식량이 부족해 수입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농수산업 생산기술의 확보는 시급했다. 구체적으로는 토양조사, 병충해 방 지, 적정 작물 조사, 관개 사업과 농지 개간 사업을 꼽을 수 있다. 1971년 유엔개발계획(UNDP)와 국제노동기구의 공동지원을 받아 중앙직업훈련원을 개원했다.

 

한국은 1960년대 초 경제개발계획을 추진하면서 유엔 산하 세계은행인 IBRD로부터 대규모 사회간접 시설 투자 지원을 받았다. 1962년 영동선 철로 확장 사업이 그 시발이었다. 이어 진주-순천 간 철도건설사업, 고속도로 건설조사 사업, 평택-금강 간 개간 사업, 한국 최초의 민간 개발 금융회사인 한국개발금융공사 설립 사업 등에서 IBRD의 지원을 받았다.

 

IBRD는 한국의 산업인력 양성사업의 일환으로 27개 공업고등학교와 5개 직업기술학교, 4개의 사범대학에 물자를 지원했다. 부산항과 묵호항 등 항만 건설사업도 IBRD의 지원을 받았다. IBRD는 중소기업은행과 산업은행에 대해서 총 3억4천여만 달러의 자금을 제공했다.

 

심지어 경주 관광산업 개발사업에도 지원했다. 세계은행은 1960~70년대에 걸쳐 한국의 경제개발을 위해 촘촘히 지원을 아끼지 않은 고마운 유엔기관이었던 것이다.

 

한국은 1957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창설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그 전에 문교부 직제 안에 원자력과를 설치한 바 있다. 한국은 어떤 과학기술 분야보다 가장 먼저 원자력에 관심을 기울인 이유는 극심한 전력난 때문이었다. 전후 경제복구와 경제성장을 위해서도 원전 건설은 꼭 필요한 사업이었다.

 

한국은 IAEA로부터 원자력에 관한 교육과 훈련, 실험장비, 원전 타당성 조사, 전문가 자문, 해외 연수와 유학 등의 다방면에 걸쳐서 지원을 받았다.

 

◇ 유엔 참전국 보훈 외교, 한국 국가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

 

한국전쟁 발발 시 유엔의 깃발 아래 참전한 국가는 22개국이며 각종 지원을 제공한 국가는 43개국에 이르는 등 총 60여 개국의 도움을 받았다. 참전 용사는 194만 명에 달한다.

 

정부는 한국전쟁 참전국의 보훈 외교의 하나로 전투병을 파병한 16개국 참전 용사들과 유가족들의 한국 방문 사업을 1975년부터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또 참전국 현지에서 참전 기념사업을 한국 정부 주최로 개최해오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마스크 등 구호품을 보내주는 등 보훈 행사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적절한 시기를 포착해 실행되 고 있는 것 같아 받는 이들에게 감동을 더해주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20년 '유엔 참전 용사 국제추모의 날'을 법 정기념일로 제정하고 매년 11월 11일 보훈부가 주관해 기 념행사를 개최한다. 작년 행사는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국가 보훈부 초청으로 방한한 유엔 참전 용사와 유가족, 국내 6·25 참전유공자, 참전국 외교사절 등 약 1천200명이 참석했다. 외교부는 참전 용사에 대한 보훈을 미래 세대로 확장하는 차원에서 22개국 참전 용사 후손 교류캠프도 매년 운영하고 있다.

 

◇ 한국 민간 국제구호 기관 설립과 활동 많아져야

 

한국은 한국전쟁 당시 아무런 대가없이 유엔 회원국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 그러므로 한국은 우리를 도운 참전국은 물론이고 그렇지 않은 나라들에 대해서도 아무런 조건 없이 돕는 데 인색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영국이 가자 지역에 긴급 야전병원을 설치하기로 했다는 뉴스가 전해지고 있다. 현재 전쟁의 고통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인들과 가자의 팔레스타인들에 대해서 정부와 민간인들이 적극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것이 유엔의 은혜에 보은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유엔에 보은하기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주도의 국제민간구호 기구들이 국내에서 지금보다는 다앙하게 설립되고 활발하게 활동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고 본다. 그래야 선진국을 바라보는 한국의 국격에 맞는 것 같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