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멈춰 '애물단지'가 된 부산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의 활용 방안에 대한 용역 결과가 나왔다.
15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환경부는 '기장 해수담수화시설 활용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해 3가지 활용 방안에 대한 전문가 제안을 받았다.
용역 결과 보고서를 보면 해수 담수화 시설에 대해 하루 9천t의 용수를 생산할 수 있는 '1계열'과 하루 3만6천t을 생산할 수 있는 '2계열'로 구성된다.
전문가는 1계열의 경우 먹는 물 대신 공업용수를 만들어 인근 고리원전이나 산업단지에 공급하자고 제안한다. 고리원전 냉각수로 2천~3천t, 기장·양산 일대 산업단지에 6천t을 공급하는 방안이다.
2계열은 활용방안을 3가지로 구분했다. ▲현재 시설을 개보수 해 가뭄이나 지진 등 재난 시 비상 용수를 생산하는 시설로 활용, ▲연구개발시설로서 해수 담수화, 수전해, 해수열, 자원회수, 스마트 양식 등을 실증화하는 시설로 활용, ▲앞선 두 안을 섞어 비상 용수와 연구개발 목적으로 모두 활용하자는 제안이다.
다만, 용수 생산단가를 낮출 핵심 조건인 전기료 인하 방안이 담기지 않겨 있지 않아서 실효성이 있느냐에 대한 의심을 받고 있다.
보고서는 공업용수 생산 시 1t당 1천694원, 원전 주변 지역 전기료 50% 할인을 받아도 1t당 1천400원이 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일반적인 공업용수 생산 단가 420원 보다 최대 4배나 더 비싸다.
보고서는 1계열 시설 보수에 358억원, 2계열 시설 보수에 445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해수 담수화 시설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환경부와 협의를 지속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면서 "전문가 제언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하고, 부서 간 협의 등을 통해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부산 기장군 대변리에 위치한 해수담수화시설은 시설은 지난 2014년 부산시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두산중공업 등이 '해수담수화 R&D 사업'으로 국비 823억원, 지방비 425억원, 민자 706억원 등 총 1954억원이 투입됐다.
환경부 소유의 이 시설은 2014년 8월 완공 후 인근 고리원전으로부터 방사능이 검출될 것이란 우려에 2018년 1월 가동을 멈춘 후 지금까지 방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