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패스트푸드 세트 가격, 대학생 하루 생활비의 절반 이상 차지

패스트푸드의 세트메뉴 평균가는 대학생 일 평균 생활비의 절반 이상을, 가장 비싼 세트메뉴는 일 평균 생활비의 65%~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이하 감시센터)는 패스트푸드 3사의 햄버거 및 세트메뉴 가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주요 패스드푸드 3사의 세트메뉴의 가격은 롯데리아가 최저 4,500, 최고 7,900, 맥도날드는 최저 4,600, 최고 8,600, 버거킹은 최저 4,700, 최고 10,300원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감시센터가 밝힌 조사에서 버거단품과 감자튀김, 음료로 구성되어있는 세트메뉴와 버거 단품을 구매했을 때, 같은 구성이라도 가격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맥도날드가 최대 1,400, 롯데리아는 600원의 차이를, 버거킹은 100원의 가격 차이를 보였다.

 

가령, 맥도날드에서 빅맥치킨버거’, ‘감자튀김’, ‘음료를 구매하기 위해 빅맥세트(6,100)’치킨버거(2,300)’를 구입하는 경우와 치킨버거세트(5,100)’빅맥(4,700)’를 구입하는 경우, 같은 구성이지만 1,400원의 가격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롯데리아에서 모짜렐라인더버거-올리브세트(7,100)’치킨버거(2,900)’를 구매하는 경우와 치킨버거세트(5,100)’모짜렐라인더버거-올리브(5,500)’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600원의 차이가, 버거킹에서는 콰트로치즈와퍼세트(8,300)’크런치치킨버거(4,300)’을 구입하는 경우와 크런치치킨버거세트(6,400)’콰트로치즈와퍼(6,300)’를 구매하는 경우에는 100원의 가격차이가 발생한다.

 

이 같은 가격 차이는 각 세트 메뉴에 들어가는 감자튀김과 음료의 금액이 다르게 책정되어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해 업계는 가격이 비싼 세트일수록 할인 금액이 크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패스트푸드의 특성상 빠르게 주문하고 계산하기 때문에 메뉴 조합에 따른 금액차이를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높다.

  

특히 패스트푸드 3(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의 제품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햄버거(불고기버거, 치즈버거, 햄버거)와 업체의 대표 햄버거(한우불고기버거, 빅맥, 와퍼)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두 메뉴의 원재료가 차이에 비해 판매가격 차이가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사회적기업협의회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 전개”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소속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여성기업, 비영리단체, 협동조합 등 대표 일동은 8일 “주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통한 우리의 실천이사회적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며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 사회에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통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면서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이 고용한 총 71,950명 노동자에 64%(46,385명)가 취약계층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안전망을 구축해 온 것은 고용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의 성공한 정책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 협의회는 '일자리 창출'을 넘어, 4.5일제 참여를 통해 일과 가정의 균형과 안전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일과 삶의 균형 있는 일자리 안정망’의 사회적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면서 “나아가 우리의 실천이 사회적기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에서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하겠다.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홍보 해나가겠다”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