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국민 10명 중 6명 낙태죄 폐지 찬성

모든 지역·성별·이념성향·정당지지층서 폐지 여론 우세
60대이상 연령층에선 찬반 '팽팽'

 

11일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위헌 결정 여부를 앞둔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이 낙태죄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1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낙태죄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10명 중 6명에 이르는 58.3%로 집계됐다.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30.4%로 '폐지' 응답의 절반 수준이었다.

 

특히 지난 1년 사이 낙태죄를 폐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11월 조사에서는 '폐지' 응답이 51.9%(유지 36.2%)로 조사됐다. 1년 4개월이 흐르는 사이 낙태죄 폐지 여론이 6.4%p가 증가한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이념이나 여야 진영과 관계없이,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 지역, 성별, 이념성향, 정당 지지층에서 낙태죄 폐지 찬성 여론이 우세했다.

 

폐지 여론은 서울(폐지 70.8% vs 유지 18.6%), 20대(74.1% vs 22.4%)와 30대(71.5% vs 19.3%), 바른미래당 지지층(73.0% vs 25.4%)에서 70%를 상회했고, 여성(64.3% vs 23.4%), 대전·세종·충청(66.1% vs 18.5%), 40대(63.4% vs 30.3%), 정의당(68.1% vs 19.8%)과 민주당(64.5% vs 25.9%) 지지층, 진보층(62.7% vs 25.7%)에서는 60%를 넘었다.

 

이외 남성(폐지 52.2% vs 유지 37.5%), 대구·경북(59.8% vs 32.8%)과 부산·울산·경남(55.2% vs 34.0%), 경기·인천(54.2% vs 33.7%), 광주·전라(48.4% vs 41.6%), 50대(50.0% vs 32.7%), 무당층(50.6% vs 40.2%)과 자유한국당 지지층(47.1% vs 36.6%), 중도층(59.5% vs 33.9%)과 보수층(57.6% vs 32.0%)에서도 폐지 여론이 대다수이거나 우세했다.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폐지 41.9%, 유지 41.0%로 양측 의견이 팽팽했다.

 

이번 조사는 tbs의 의뢰로 지난 10일 하루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며, 응답률은 5.2%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인천환경공단 발주 용역 50대, 결국 인천 맨홀서 숨진 채 발견
인천환경공단이 발주한 오수관로 GIS(지리정보시스템) 구축 용역을 수행하던 50대가 인천시 계양구 병방동 도로 맨홀 안에서 실종된 뒤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사망한 작업자가 소속된 업체는 발주처인 인천환경공단에 사전 보고 없이 해당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나 안전조치 미흡 논란이 불거질 전망이다. 7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오·폐수 관로 조사·관리 업체 직원 A(52)씨가 숨진 상태로 소방 당국에 발견됐다. 소방대원들은 A씨를 오수 관로와 연결된 굴포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 당국은 전날 신고를 받고 출동해 관로 조사·관리 업체 대표 B(48)씨는 맨홀 속에서 심정지 상태로 구조했으나, 실종자 A씨는 찾지 못해 수중 수색 작업을 벌여 왔다. 조사 결과 B씨 업체는 인천환경공단이 발주한 '차집관로(오수관) GIS(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용역'의 재하도급 업무를 담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정상적인 보고 체계 없이 작업이 이뤄지는 등 안전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를 당한 작업자가 소속된 업체가 발주처인 인천환경공단의 사전 보고 없이 해당 작업을 진행한 것이다. 한편, 경찰과 소방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