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28일 화요일

메뉴

경제


최근 5년간 여성 고용률 소폭 증가…여전히 OECD 평균 하회

매출액 600대 비금융 상장사 여성 고율 비율 23.0%→ 23.8%
여성 고용률 56.9%·경제활동 참가율 59.0%… 각각 OECD 평균 63.7%·68.3% 하회

 

최근 5년간 여성 고용 비율은 소폭 증가해 직원 100명 중 24명이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 고용률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27일 한국경제연구원은 매출액 600대 비금융 상장기업의 직원 수를 분석한 결과 2014~2018년간 대상 기업의 여성 고용 비율은 0.8%p(23.0%→23.8%) 증가했다고 밝혔다.

 

다만, 여성 고용률은 2017년 기준 56.9%로, 여전히 OECD 평균(63.7%)보다 낮았다.

 

또한 남성 고용률은 0.8%p(77.0%→76.2%) 감소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2018년 600대 상장기업 전체 직원은 118만7,000명으로, 그중 남성 비율은 76.2%(90만4,000명), 여성 비율은 23.8%(28만3,000명)였다.

 

최근 5개년간 600대 기업의 여성 직원 수는 2만명 증가했고, 고용 비율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다.

 

여성 고용 비율이 증가한 업종은 같은 기간 12개 업종 중 10개 업종이다.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은 교육 서비스업(3.4%p)이고,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2.7%p), 건설업(2.1%p) 등이 뒤를 이었다.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2%p)과 농업, 임업 및 어업(-2.7%p)은 여성 비율이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2018년 여성 직원의 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교육 서비스업(70.6%), 도매 및 소매업(55.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47.5%) 순이었다.

 

여성 직원 비율이 가장 낮은 업종은 건설업(9.0%)이고, 고용 인원이 가장 많은 제조업의 경우 17.0%로 업종별 편차가 컸다.

 

지난해 600대 상장사 중 여성 직원 수가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주)(2만7,263명, 제조업)이었고, 롯데쇼핑(주)(1만7,101명, 도·소매업), (주)이마트(1만6,606명, 도·소매업), SK하이닉스(주)(9,806명, 제조업), (주)KT CS(7,918명, 정보통신업)였다.

 

전체 직원 중 여성 비율이 높은 기업은 효성ITX(주)(82.9%), (주)웅진씽크빅(80.6%), (주)KTis(79.6%), (주)KT CS(79.6%), (주)신세계인터네셔날(76.9%) 순이었다.

 

이들은 모두 교육 서비스업, 도매 및 소매업,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 여성 고용 상위 5대 업종에 속한 기업이었다.

 

2014년 대비 여성 직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주)GS리테일(5,230명), CJ CGV(3,290명), CJ프레시웨이(주)(3,098명), (주)CJ ENM(1,429명), 한국전력공사(주)(1,108명)였다.

 

한편, 한국의 여성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은 여전히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년간 한국의 15~64세 여성 고용률은 9.6%p 증가해 OECD 평균 상승치(8.7%p)보다 높았지만, 2017년 한국의 여성 고용률은 56.9%로 OECD 평균(63.7%)을 밑돌려 33개국 중 27위에 머물렀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도 OECD 평균(68.3%)보다 낮은 59.0%로, 1998년 26위에서 2017년 29위로 3계단 하락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600대 상장사의 여성 고용 비율은 2014년 23.0%에서 2018년 23.8%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의 여성 고용률은 여전히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여성 고용률 제고를 위해서는 유연근무제, 출산·육아 지원 등 일·생활균형제도의 확산과 함께 이벙에 대한 지원정책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한화오션, 하청노조 상대 470억 손배소 취하...정치권 “환영”
한화오션이 대우조선해양 시절인 2022년 여름 51일 점거파업을 이유로 사내협력업체 노동자들이 가입해 있는 민주노총 금속노조 경남지부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지회장 김형수)에 제기했던 470억 원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취하하기로 했다. 이에 정치권에선 환영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 법률) 시행과 맞물려 국회와 시민사회의 요구, 노사 상생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는 반응이다. 한화오션과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이하 하청지회)는 28일 국회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2건의 손해배상청구소송 취하 합의를 발표했다. 한화오션은 이날 합의를 통해 하청지회를 대상으로 한 소송을 조건 없이 즉각 취하하고, 하청지회는 파업으로 발생한 사안에 유감을 표명했다. 또 양측은 같은 사안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노력할 것을 확인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정인섭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사장은 “한화오션과 하청지회는 서로에 대한 신뢰의 큰 걸음을 내딛었다”라며 “지난 갈등의 과정을 뒤로하고 상호 존중과 협력을 기반으로 한 동반성장을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과거를 극복하고 원청 노사와 협력사 노사 모두가 안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