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정치


청년과 ‘소통’ 행보 보인 김선동 의원, 2년 연속 청년친화 우수국회의원 선정

 

자유한국당 김선동 국회의원(서울 도봉구을)은 2년 연속 청년 친화 우수국회의원으로 선정됐다.

 

김선동 의원은 지난 29일(수), 국회사무처 소관의 사단법인 청년과 미래 청년친화선정위원회(이하 선정위)로부터 20대 국회의원과 17개 시·도 광역자치단체, 서울·경기·부산·대전 지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평가한 청년친화도 평가에서 청년친화 우수국회의원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선정위는 2017년부터 대학교수, CEO, 회계사 등 8명의 전문가와 청년심사위원 20명을 구성하여 매년 청년친화지수(심사기준)를 개발하고, 자료요청 및 취합, 평가와 심사과정을 거쳐 청년친화 우수국회의원과 우수광역자치단체, 우수기초자치단체를 선정하고 있다.

 

김선동 의원은 청년관련 토론회, 명예보좌관 운영, 청년단체와 함께 행사를 주최하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소통지수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한 ‘소통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청년친화 헌정대상(소통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청년친화 우수국회의원으로 2년 연속 선정되면서 ‘청년 정책 전문가’, ‘청년 친화 국회의원’으로 입지를 더욱 굳혔다.

 

김선동 의원은 이번 수상으로 지난 한해 동안 서울시당위원장, 여의도연구원장 등 당내 주요 보직을 맡으며 ‘청년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청년이 참여하는 정치발전’을 위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가동하는 등 청년과의 소통에 있어 전방위적으로 활동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지난해 2월 서울시당위원장을 맡으며 ‘청년이 묻고 서울시당이 답하다’ 행사를 열고 청년과 정당이 직접 소통하는 창구를 만들었으며, 한국여성유권자연맹과 공동주최한 청년리더십프로그램을 통해 대학, 대학원 과정의 여성지원자 2명을 명예보좌관으로 임명, 약 1달의 기간 동안 정책개발 실무과정에 참여시키기도 했다.

 

또한 여의도 연구원장으로 기획총괄을 맡은 ‘자유한국당 청년정치캠퍼스Q’를 가동시켜 청년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정치 참여의 길을 열어주는 역할을 했다.

 

김선동 의원은 “집무실 책상위에 있는 청년 명예보좌관들과 찍은 사진을 보며 매일 청년을 위한 정책개발과 고민을 계속하고 있다”며, “2년 연속 청년친화 헌정대상을 수상하게 돼 감사드리고 청년 여러분이 꿈과 희망을 품고 과감하게 미래로 도약할 수 있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