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경제


지난해 韓경제 2.0% 성장 턱걸이…10년 만에 최저

 

지난해 한국경제가 2.0% 성장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은행은 ‘2019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국경제가 2.0% 성장에 머문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0.8% 성장에 그쳤던 2009년 이후 10년 만이다.

 

또한 잠재성장률(2.5~2.6%)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부의 재정 확대에서 불구하고 지난해 한국경제는 성장률 2.0% 달성이 위태로울 정도로 침체한 모습이었다.

 

우리나라 경제가 2.0% 성장을 하지 못한 때는 제2차 석유파동이 터진 1980년대(-1.7%), 외환위기 때인 1998년(-5.5%),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한창이던 2009년(0.8%) 등 3차례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는 4분기 총력을 기울여 성장률이 2.0% 밑으로 떨어지는 일은 막겠다고 했지만, 여러 민간 경제연구소나 전망기관들의 전망은 1.9% 성장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4분기 성장률이 건설투자가 증가하고, 정부 소비가 늘어난 데 따른 영향으로 예상보다 높은 1.2%를 기록하면서 성장률 2.0%를 간신히 방어했다.

 

이는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설비투자 증가세가 개선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민간소비는 전기대비 0.7%, 건설투자는 6.3%, 설비투자는 1.5% 증가했고, 수출은 전기대비 0.1% 감소했다.

 

정부가 2.0% 성장률을 방어하기 위해 4분기 재정 집행에 집중한 것도 4분기 성장률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다.

 

4분기 성장률에 대한 정부 기여도는 1.0%p로, 사실상 정부가 성장률을 견인했다.

 

 

한편, 지난해 한국경제 연간 성장률은 ‘심리적 저지선’이라는 2.0%에 턱걸이했다.

 

지난해 우리 경제가 이 같은 모습을 보인 이유는 민간 경제가 부진한 탓이 컸다.

 

지난해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업황이 부진했고,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수출이 둔화됐다.

 

2019년 민간소비는 1.9% 성장해 2013년(1.7%) 이후 가장 낮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역시 각각 –3.3%, -8.1%를 기록하며 부진했고, 수출은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경제활력을 되살릴 목적으로 정부가 시장에 돈을 푸는 재정 확대 정책을 시행했지만, 별 효과가 없었던 셈이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반도체 가격 하락 등 교역조건 악화로 전년대비 0.4% 감소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