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6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경제


한경연 “양질 일자리 창출 위해서는 저기술산업 R&D 활성화 필수”

韓 제조업 특정 업종 쏠림현상↑, 생산비중·고용비중 간 격차 상당
저기술산업군, 고용 비중 대비 생산 비중 낮아
R&D 활성화도 부가가치 높여야 양질의 일자리 창출 가능

우리나라 제조업의 특정 업종 쏠림현상 완화와 양질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의류, 식음료 등 저기술산업군에서의 R&D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한국경제연구원은 ‘기술 수준별 제조업의 R&D 집중도와 성장률 국제비교’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제조업 중 ‘전기 및 전자기기업’의 생산 비중이 가장 높으나 그 고용 비중은 이에 훨씬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또한 생산 비중과 고용 비중 간의 격차(16.05%p, 2017년 기준)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큰 편이라고 주장했다.

 

영국의 경우 생산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의 생산과 고용 비중 격차는 1.77%p, 프랑스는 4.82%p, 이탈리아 1.9%p에 불과하고, 미국은 그 격차가 상당히 큰 편이나 여전히 우리나라보다 적은 수준인 11.89%p다.

 

 

반면, 우리나라 전체 제조업 중 생산 비중이 낮은 편인 의류, 섬유, 식음료 등의 경우 반대로 고용 비중이 생산비중에 비패 높은 편이며, 이 상반된 결과가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이어진다고 평가했다.

 

이태규 연구위원은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수준을 부담할 수 있는 업종에서는 그 생산 비중보다 적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임금수준이 높기 어려운 업종에서는 그 생산 비중보다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상황은 결국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우리나라의 생산 비중과 고용 비중 간의 격차가 제조업종별 생산과 고용의 쏠림 정도(집중도)에서도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제조업종별 생산 비중과 고용 비중의 집중도를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 : HHI)로 측정해 주요국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 제조업종별 생산 비중의 쏠림 정도가 해외 주요국에 비해 매우 큰 반면, 고용 비중의 집중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 큰 차이가 나지 않으며, 우리나라는 생산 비중 HHI와 고용 비중 HHI 간 격차가 주요국에 비해 상당히 큰 편인 것으로 분석됐다.

 

HHI는 제조업을 13개 업종으로 나누어 얼마나 고르게 생산과 고용 비중이 분포돼 있는지를 측정한 지수다.

 

이 연구위원은 “부가가치 창출은 소수의 업종에 의존하면서 고용은 그렇지 못한 우리나라의 구조가 이 HHI 비교에서도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기술수준별로 우리나라 상장기업들과 세계 주요 상장기업들(자산기준 세계 100대 이내 기업)의 R&D 활성화 정도(R&D 집중도)를 비교했는데, 특히 대표적인 저기술업종인 가구, 의류, 섬유, 식음료 등에서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R&D 집중도(상장기업 평균값)가 세계 주요 상장기업에 비해 상당히 낮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연구위원은 “R&D 집중도가 낮다는 것은 매출액 대비 혁신 활동이 소극적으로 이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어렵고, 그 결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도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저기술산업군이라도 해서 무시해도 되는 산업이 아니다”며 “의류, 가구, 식음료 등 저기술업종에서 세계 상위권 기업들은 대부분 선진국 기업들”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분석 결과, 세계 10위권 내 국내 기업이 한두 개 위치하고 있는 중·고기술산업군과는 달리 예를 든 4개의 저기술업종에서는 세계 20위권 내에 위치하는 기업이 하나도 없다”면서 “이는 저기술산업군에서 세계 주요 기업에 비해 R&D 활동이 부진한 국내 기업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보고서는 의류, 식음료 등 저기술업종에서 상당한 고용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이들 업종에서 혁신활동이 보다 활발히 이뤄져아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흔히들 혁신성장을 얘기할 때 소위 첨단산업만을 고려하고 저기술산업은 암묵적으로 배제하는 경향이 있다”며 “우리나라의 고용구조를 볼 때 이들 저기술산업을 배제한 혁신성장 논의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정 첨단산업에만 의존한 경제구조는 상당한 잠재적 리스크를 초래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에서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생태계가 조성돼야 하며, 이 생태계에 많은 고용을 담당하고 있는 저기술업종도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덜 익은 녹색 바나나와 잘 익은 바나나, 어느 쪽이 몸에 좋을까?
덜 익은 녹색 바나나가 장내 미생물을 지원하는 섬유질을 가지고 있어 잘 익는 바나나보다 건강에 더 유리하다고 해외 영양 치료사가 밝혔다. 영국의 영양 치료사 제니퍼 월폴은 최근 일간지 데일리 익스프레스와의 인터뷰에서 “덜 익은 바나나에는 장내 미생물을 지원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섬유질이 들어 있다”면서 “이러한 ‘우호적인’ 섬유질은 장내 세균의 먹이 역할을 해 건강한 미생물 군집과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촉진한다,”고 말했다. 그는 “장내 미생물이 번성하면 소화, 영향 흡수, 면역 체계가 강화된다.”면서, “덜 익은 바나나에서 발견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이러한 균형을 유지해 복부 팽만감, 변비, 소화 불편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그는 “건강한 장내 미생물은 심장병이나 비만과 같은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덜 익은 바나나를 식단에 포함하면 장기적 건강에 잠재적으로 투자하는 것과 같다”고도 했다. 바나나에는 익은 여부와 상관없이 칼륨이 풍부하다는 그는, “칼륨은 나트륨에 대한 자연적인 균형 역할을 해 혈압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적절한 칼륨 수치는 적절한 근육 기능을 보장해 경련과 피로의 위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