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9.7℃
  • 박무서울 9.7℃
  • 박무대전 8.5℃
  • 박무대구 9.1℃
  • 박무울산 10.4℃
  • 박무광주 11.5℃
  • 맑음부산 14.4℃
  • 구름조금고창 9.1℃
  • 구름많음제주 17.1℃
  • 맑음강화 7.5℃
  • 구름많음보은 5.0℃
  • 구름조금금산 5.6℃
  • 맑음강진군 8.9℃
  • 맑음경주시 7.5℃
  • 구름조금거제 11.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면접관이 꼽은 안타까운 지원자 1위..."질문 의도를 몰라"

 

채용 면접관 10명중 약 9명이 면접 참가자 중 ‘취업을 빨리 못할 것 같은 안타까운 지원자가 있었다’고 답했다.

 

잡코리아가 기업의 채용 면접관 197명을 대상으로 ‘면접에서 만난 지원자 유형’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해 24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면접관 10명중 약 9명에 달하는 89.8%가 ‘면접 참가자 중 ‘취업을 빨리 못할 것 같은 안타까운 지원자가 있었다’고 답했다. 이러한 답변은 대기업(96.7%), 중견기업(80.5%), 중소기업(91.3%) 모두 높았다.

 

면접관들은 해당 지원자가 취업을 빨리 못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던 이유 1위로 ‘지원 분야의 전문지식 부족’과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점’을 꼽았다.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지원 분야의 전문지식이 너무 부족해서’와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해서’라는 답변이 각각 응답률 42.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면접관들은 ‘사회성이 부족해 보인다(34.5%)’거나 ‘지원 분야의 경험이 부족한(27.7%)’, ‘지나치게 개인적인 성향을 보인(27.1%)’ 지원자들의 경우 취업을 빨리 못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고 답했다.

 

기업별로 대기업은 ‘지원분야의 전문지식 부족’을 꼽은 면접관이 55.2%로 과반수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질문의도를 파악하지 못해서’라고 답한 면접관이 각 51.5%, 39.1%로 가장 많았다.

 

반면 면접에서 만난 지원자 중 ‘취업이 빨리 될 것 같은 생각이 든 지원자가 있었다’는 면접관도 90.9%로 많았다. 이 같은 생각이 들었던 이유 중에는 ‘지원분야의 풍부한 경험’과 ‘친화력이 좋고 대인관계가 원만해 보여서’라고 답한 면접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지원분야의 경험이 풍부해서’ 해당 지원자가 빨리 취업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면접관이 4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친화력이 좋고 대인관계가 원만해 보여서(41.3%), ‘예의 바르고 성실해 보여서(34.6%)’, ‘협조적이고 조직문화에 잘 적응할 것 같아서(32.4%)’ 취업이 빨리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면접관이 많았다. 이 외에는 ‘질문의 의도 파악을 잘한다(26.3%)’거나 ‘지원분야의 전문지식이 풍부해 보여서(22.3%)’, ‘눈치 빠르고 센스 있어 보여서(19.0%)’라는 답변이 있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