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이 첫 직장을 유지하거나 퇴사하는 이유는?

 

직장인이 첫 직장에서 계속 근무하거나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직무 적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경력 10년 미만의 직장인 715명을 대상으로 <첫 직장을 유지 또는 퇴사하는 이유>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9일 발표했다.

 

먼저 ‘현재 첫 직장에서 근무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2명중 1명에 이르는 51.0%가 ‘퇴사했다’고 답했다. 첫 직장을 퇴사한 이유 1위는 ‘적성에 맞지 않는 직무’ 때문이라는 답변이 높았다.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적성에 맞지 않는 직무 때문에 첫 직장을 퇴사했다’는 직장인이 26.3%(응답률)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낮은 연봉(14.8%)’과 ‘회사의 비전이 낮아 보여서(14.5%)’ 첫 직장을 퇴사했다는 응답자가 다음으로 많았다.

 

이 외에는 △새로운 일을 하기 위해서(13.7%) △복지제도가 좋지 않아서(11.5%) △상사/동료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서(11.0%) △일을 하면서 배울 점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11.0%) 순으로 첫 직장을 퇴사한 이유를 꼽았다.

 

첫 직장에 계속 다니고 있다고 답한 직장인(49.0%)도 첫 직장을 유지하는 이유 1위로 ‘직무 적성’을 꼽았다. 복수응답으로 조사 결과 ‘직무가 적성에 맞아서 첫 직장에 계속 다니고 있다’는 직장인이 28.9%(응답률)로 가장 많았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적성에 맞는 직무분야에서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직장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직업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음으로는 ‘적당한 업무량’이 첫 직장을 유지하는 요인이라는 답변이 27.7%로 많았고, ‘일 하면서 배울 점이 많다(24.0%)’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또 ‘출퇴근 소요 시간이 적당해서’ 첫 직장을 계속 다니고 있다는 직장인도 23.4%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적성에 맞는 직무분야에서 일하는 것에 대한 고민은 취업을 앞 둔 구직자뿐 아니라, 직장인들도 계속 고민하게 되는 주제인 것으로 보인다. 잡코리아가 ‘직장생활을 시작한 이후 진로에 대해 고민한 적 있는지’ 질문한 결과, 조사에 참여한 전체 직장인 10명중 8명이상인 86.6%가 ‘있다’고 답했다.

 

진로를 고민하는 이유 중에는 ‘현재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생각 때문’이라는 답변이 26.0%로 가장 많았다. 또 ‘최선을 다해 일을 했으나 성과가 좋지 않아서’ 진로에 대해 고민해봤다는 직장인도 20.8%로 다음으로 많았다.이 외에는 △다른 하고 싶은 일이 생겨서(17.1%) △현재 일을 계속 하고 싶지 않아서(14.5%) 진로에 대해 고민해봤다는 직장인이 많았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장동 비리’ 유동규·김만배...1심서 징역 8년 법정 구속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된 민간업자들이 1심에서 중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조형우 부장판사)는 31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과 화천대유자산관리(이하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에게 각각 징역 8년을 선고했다. 특경법상 배임이 아닌 형법상의 업무상 배임이 인정됐다. 재판부는 아울러 김 씨에게는 4백28억 165만 원, 유 전 본부장에겐 8억 천만 원의 추징을 명령했다. 또 이들과 함께 활동한 남욱 변호사와 정영학 회계사, 정민용 변호사에게는 징역 4년과 5년, 6년 형을 각각 선고했다. 재판부는 “예상이익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확정이익을 정한 공모 과정을 그대로 체결해 공사로 하여금 정당한 이익을 취득하지 못하게 하고, 나머지 이익을 내정된 사업자들이 독식하게 하는 재산상 위험을 초래했다”며 “위험이 실제 현실화돼 지역주민이나 공공에 돌아갔어야 할 막대한 택지개발 이익이 민간업자들에게 배분됐다”고 했다. 한편, 민간업자들과 유 전 본부장은 대장동 개발 사업과 관련해 화천대유에 유리하도록 공모 지침서를 작성,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의뜰 컨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