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경인뉴스


고양특례시, 대규모 개발사업 대비 주요 간선도로 개설

빠르고 편리한 교통 인프라 구축에 행정력 집중

경기 고양특례시는 고양장항지구, 일산테크노밸리등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교통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24개 주요 간선도로 개설 및 확장공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 고양특례시 전경<고양시 제공>

 

시는 막힘없는 교통 인프라 구축 및 편리한 도시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현재 추진중인 주요간선도로 사업은 총 24개소로 총사업비 약 4650억원 규모이다. 

 

올해는 총사업비 3590억원 규모 13개 사업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공사 시행 중인 행주로 - 제2자유로 접속도로개설공사, 서울문산고속도로 사리현IC 주변에서 식사지구 연결(시도81호선 남측) 도로개설공사와 사리현IC 주변(시도82호선) 도로개설공사, 자유로 행주IC 교통개선사업 등 6개 사업은 조기 준공을 목표로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행주로 - 제2자유로 접속도로 개설공사는 (가칭)행주산성IC 개통하여 강매IC에 집중되는 교통량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행주산성 일원으로 진입하는 원할한 교통망을 통해 관광 활성화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

 

오랫동안 지역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민마루 - 곡산역간 도로개설공사도 중기지방재정계획 및 투자심사 등 행정절차를 마쳤으며 호수로(시도71호선) 도로확장공사, 도시계획시설(대로3-48호선) 개설공사 등 7개 사업에 대해서도 설계 및 보상을 실시하여 간선도로망을 확충할 계획이다. 

 

시 외곽지역인 비도심(취락)지역에도 총사업비 650억원을 투입 12개 사업을 추진해 교통불편을 조기에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집단취락 및 자연취락내에 도로를 개설하여 주민불편을 해소할 계획이며 사유지 현황도로로 인한 주민 간 갈등, 주변 지역의 개발로 인한 교통량 증가, 소방도로 부족 등 주민 불편을 유발하는 30개 사업 대상지에 대하여도 개선사항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 밖에도 시는 걷기 편한 보도를 만들기 위해 보도블록 정비, 인도와 차도간 단차 최소화, 안내 표시 등 시민 눈높이에 맞도록 다양한 사업도 추진한다.  기존 보도블록 대신 대형블록(50㎝×50㎝)을 사용해 노면이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보행이 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 대형블록 시공현장<고양시 제공>

 

올해는 고양대로 등 9개소에서 새로운 보도블록으로 정비를 추진하고 방향표시 안내 크기도 90㎝×90㎝로 확대하여 보다 보기 쉽고 편리하게 조성할 계획이다.

 

인도와 차도 사이의 단차 및 경사도를 최소화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약자, 장애인의 불편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보도블록에 주요 방향을 표시해 도로표지판 같은 안내 기능을 첨가해 시민편의를 높인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고양시로 인구유입이 계속됨에 따라 교통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며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보도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여성농민회총연합·전종덕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 촉구”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과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15일 ‘여성농민의 날’을 맞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성농민 법적 지위 보장 및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을 촉구했다. 국회 농해수위 위원인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이날 “농가인구의 51.1%, 농사일의 50.2% 등 여성농민이 농업농촌의 절반을 차지하는데도 법과 제도는 농가중심 구조에 머물러 정책결정 참여에 제한되거나 소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표적으로 정부에 여성농업인 전담부서가 임의조직으로 되어있고 농어업경영체에 공동경영주로 등록하더라도 법적 지위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법과 제도로 여성 농민의 법적 지위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설치,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여성농어업인 육성법’ 개정에 나서 농정의 중심에 여성 농민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회장은 “여성농민이 ‘한 사람의 농민’으로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법적 지위를 확보하는 것은 농업정책과 마을, 법인, 지자체 모든 영역에서 여성농민의 목소리가 정책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정치적 권리 문제인 만큼 전종덕 의원과 함께 법, 제도를 만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