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직장인 2명 중 1명 "난 워커홀릭"

 

직장인 2명 중 약 1명이 스스로를 일중독자 즉 ‘워커홀릭(Workaholic)’이라고 생각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는 직장인 855명을 대상으로 <일중독 실태>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 2명중 약 1명에 달하는 48.5%가 스스로를 ‘워커홀릭’이라 답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들 중에는 ‘일이 많아 어쩔 수 없이 워커홀릭 일 수밖에 없다’는 비자발적 워커홀릭이 52.5%로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많았다. 반면 ‘일 하는 것이 쉬는 것보다 편하고 좋다’는 자발적 워커홀릭도 47.5%로 적지 않았다.

 

스스로 워커홀릭이라 답한 직장인들은 일주일 평균 2~3일 야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주일 평균 야근 일수를 조사한 결과 ‘3일’ 야근한다는 응답자가 33.3%로 가장 많았고, ‘2일’ 야근한다는 응답자가 20.5%로 다음으로 많았다. 워커홀릭 직장인 중 53.8%(33.3%+20.5%)가 일주일 평균 2~3일 야근을 한다고 답한 것이다. 야근하는 날에는 ‘2시간정도’ 추가 근무한다는 응답자가 36.6%로 가장 많았고, 이어 ‘3시간정도(27.0%)’ 추가 근무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워커홀릭 직장인 중에는 퇴근 후 집에서 또는 주말이나 공휴일에 출근해 일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근 후 집에서 업무를 한 적 있는지’ 조사한 결과 50.8%가 ‘자주 있다’고 답했고, ‘많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13.5%에 달했다. 또 주말이나 공휴일에 출근해 일한 적 있는지에 대해서도 ‘자주 있다’는 응답자가 43.6%, ‘많이 있다’는 응답자가 13.5%로 많았다.

 

이러한 워커홀릭 직장인 중에는 번아웃(burnout) 현상(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기력이 소진되어 무기력증, 우울증 따위에 빠지는 현상)을 겪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워커홀릭 직장인들에게 번아웃 현상을 경험한 적 있는지 조사한 결과 ‘자주 있다’는 응답자가 57.6%로 과반수이상에 달했다. ‘매우 많다’는 응답자도 20.2%로 많아, 워커홀릭 직장인의 77.8%(57.6%+20.2%)가 번아웃 현상을 자주 겪는다고 답했다.

 

워커홀릭 직장인들은 번아웃 현상을 극복하는 최고의 방법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취미/특기 활동’이라 답했다. 번아웃 현상을 극복하기위해 시도했던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이었던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취미, 특기활동’이라 답한 응답자가 4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휴가나 휴직을 통해 휴식을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는 응답자가 43.7%로 많았다. 다음으로 ‘이직을 한다’는 답변도 23.5%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외에는 ‘업무량을 줄인다(16.7%)’거나 ‘지인과 현재의 상황에 대해 상담을 한다(14.9%)’ 순으로 번아웃 극복에 효과적인 방법을 꼽았다.

 

한편, 업무량 과다로 인한 스트레스는 ‘이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량이 많은 이유로 이직을 준비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워커홀릭 직장인 중에는 55.2%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워커홀릭이 아니라고 답한 직장인 중에는 68.6%가 ‘아니다’라고 답해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책위 “오송참사,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2주기 전 해결해 달라”
중대시민재해 오송 참사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3일 “오송지하차도참사 2주기가 되기 전에 국회는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등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침수 참사는 열네 명의 생명을 앗아간 참극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송참사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외치며 싸우고 있다. 오송참사대책위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기소된 이범석 청주시장은 아직까지 진정한 사과도 없이 여전히 책임을 부정하고 있으며 김영환 지사를 ‘혐의없음’으로 불기소한 결정에 대한 대전고법 항고는 5개월이 되어가는데 아직도 깜깜무소식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국회가 작년에 국정조사를 약속했지만 아직 국회 본회의의 문턱에 오르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송 참사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예방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무관심과 관리 부실, 그리고 책임 회피가 빚어낸 명백한 ‘인재’”라면서 “참사 발생 2년이 지나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