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경기도 산학연협력 PoC센터’ 발족..17개 기관과 협약

-대학 보유 지식재산(IP) 사업화 위한 사전 기술검증·시제품 제작 등 지원
-도, 안산시, 한양대에리카 산학협력단 및 경기테크노파크 등 18개 산학연관 지역혁신기관 참여

경기도가 각 대학에서 보유한 지식재산(IP)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한양대 에리카 산학협력단 등 17개 산학연관 지역혁신기관과 ‘경기도 산학연협력 PoC 센터’를 발족해 협력하기로 했다. 


PoC(Proof of Concept)는 기존 시장에 없었던 신기술 도입 전에 이를 검증하기 위해 특정 방식이나 아이디어를 실현해 타당성을 증명하는 것을 뜻하며, 대학이 보유한 지식과 기술을 시제품 제작과 검증 등의 과정을 통해 기업에 실용화와 사업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경기도는 31일 수원 라마다호텔에서 한양대에리카가 주최하는 ‘경기도 산학연협력 PoC센터’ 발족식에 참석해 17개 산학연 관련 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기관은 경기도와 안산시를 비롯해 한양대 에리카·가천대·경기대·단국대·명지대·성균관대·아주대·한국공학대·한국항공대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기술연구소, 한국전기연구원 안산분원, (재)경기테크노파크, (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재)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기술보증기금 경기기술혁신센터 등 18곳이다.  


협약에 따라 이들 기관은 융복합 실용화 기획과 개발을 추진하고, 기술사업화 관련 기관의 보유 역량을 긴밀하게 공유하는 등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통한 혁신생태계 조성에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사진제공 <경기도>

PoC센터는 지난 6월 교육부 공모사업인 지역거점형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브릿지 3.0) 사업’에 한양대학교 에리카 산학협력단이 선정된 이후 이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만든 조직이며, 센터는 한양대 에리카 산학협력단에 거점을 두고 2025년까지 운영된다. 


브릿지 3.0 사업은 대학·지자체·기업 간 협력을 통해 대학 자산 실용화 확대, 융복합 프로젝트 등을 통한 중·대형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하는 사업으로, 3년간 33억 4천만 원(국비 21억 9천만 원, 도비 1억 5천만 원, 안산시비 1억 원, 대학 9억 원) 규모로 추진한다. 
 

한양대에리카는 PoC센터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부품소재를 기반으로 한 ▲첨단로봇·제조 ▲반도체·디스플레이 ▲헬스케어 ▲첨단모빌리티 등 4개 특화 분야를 중점 지원하고 단계별 기술이전·사업화를 비롯해 마케팅, 창업 및 투자 연계 추진 등 후속지원을 통해 지역산업 기술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김현대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국장은 “PoC센터의 산학협력 모델이 혁신적인 기술의 수요발굴과 기술을 공급하는 창구 역할로서 새로운 변화와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산학협력을 통한 기회의 수도 경기도를 만드는 데 함께 노력해달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