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경제


첨단산업에 올인하는 중국

-중국도 옛 소련처럼 내부 붕괴가 시작된 걸까?(October-4)


중국이 전체 GDP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38%다. 반면 미국은 68%다. 그러니까 미국경제는 소비자들이 끌고 가는 것이고, 중국은 소비가 아니라 투자가 끌고 간다고 할 수 있다. 투자비중은 중국이 44%, 미국은 15%로 두 나라의 돈 씀씀이가 완전히 다르다.

 

그렇다면 중국은 GDP의 44%로 뭘하는 걸까? 대부분 무기산업과 항공우주 반도체 신재생 에너지, 즉 태양광이나 전기자동차 이런 멋있는 첨단 산업에 들어간다. 하지만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가다 보니 잘 안 된다고 보면 된다.

 

먼저 반도체만 놓고 봐도 중국은 어마어마한 돈을 투자했다. ‘중국제조 2025’라는 것을 시작할 때 중국은 수입하던 첨단 제품의 70%를 자급자족하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 사실 100%을 하고 싶겠지만 그렇게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니까 비율을 낮췄을 것이다. 어찌됐든 첨단제품들은 모두 자급하길 원해서 반도체의 경우 엄청난 기금을 만들어 연구개발을 장려했다.

 

그러나 위험한 투자, 즉 첨단에 대한 투자는 십중팔구 실패한다. 중국이 지금 그걸하고 있다. 반도체 기업만 수만 개가 창업했는데 현재 그 기업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확인할 수 있는 기업은 HSMC 정도다. 한 반도체 공장은 공장을 지어보기도 전에 망했다. 투자한다고 해서 다 되면 얼마나 좋겠는가.

 

미국이 제제하기 전에 화웨이는 7-나노 시제품을 만들었다. 그런데 LUV장비를 가지면 한 번에 되는데도 DUV 장비를 써서 2~3번에 걸쳐 만들었다. 이를테면, 목각제품을 만든다고 해 보자. 예리한 칼을 가지면 작업이 빨라지지만 칼날이 둔탁하면 여러 번 작업을 해야 된다. 둔한 칼을 쓰면 비용이 올라간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현재 중국은 반도체 생산에 따른 낭비가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자본주의하에 있는 삼성, TSMC 등과 같은 반도체 기업은 그런 일 안할 것이다.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비용이 높아 적자가 날 게 확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비용과 무관하게 만들어 낸다. 국영은행에서 돈을 대는데 뭔들 못하겠는가. 추측컨대 엄청난 비용을 들여 만들면 만들수록 적자가 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일이 중국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을 것이다.

 

첨단기술이 안 되는 상태에서 억지로 첨단제품을 만들어내려면 상당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그런 방식을 통해 중국은 이미 50 년대에 원자탄, 수소탄을 만들었다. 소련도 같은 방식으로 초음속 제트기를 만들어 냈는데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어가 결국 망했다. 중국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하고 있지만 외환위기와 같은 사태를 맞지는 않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외환위기가 오는 이유는 금융문 제인데 중국은 금융이 발달해 있지 않으니까. 


우리나라가 1998년에 외채가 없었다면 다시 말해 외국은행 들에게 진 빚이 없었다면 그런 위기가 오지 않았을 것이다. 국내 은행들로부터 얻은 빚은 사실, 지금도 금융 감독원에서 시키는 대로 은행이 말을 들으니까, 막말로 채권은 없는 걸로 하라고 하면 되지만 왜채는 어떻게 할 수 없으니까 국가부도가 나기 직전까지 갔다가 IMF가 주선해서 외국 채권은행들을 불러 모았다.  “이 나라를 봐주자”고 동의해 우리나라는 IMF의 감독을 받게 된 것이다. 


외채가 GDP의 10%밖에 안 되는 중국은 그런 위기가 찾아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는 게 옳다. 특이하게 헝다, 비그위안 부동산개발 업체들이 외채를 제법 빌렸지만 최근 달러 표시 이자를 갚아 부도는 면했다. 여하튼 중국은 나라경제가 쪼그라들 가능성은 있지만 외환위기의 가능성은 없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이어서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40304 )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