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경인뉴스


[칼럼] 포기하지 않아

<유현숙의 위로와 화해>

절망과 불행을 말하는 사람들에게 우리가 취해야 할 태도

10살난 아들이 최근 말했다. "다들 자기보다 잘 하는 것 같고, 많이 하는 것 같다고." 
이야기를 들어보니 학교 친구들 사이에서 요즘 공부 선행을 어디까지 하고 있나 말하는게 유행인 모양이었다. 자기는 잘 하는 것도, 잘난 것도 없는 것 같다며 실패한 인생이란다.

울적해하는 아들에게 나는 최선의 위로를 건넸다. "넌 태도가 좋고 성실한데, 그것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고." 아들은 그 말들 모두를 하나, 하나 부정하면서 절망의 증거만 찾으려 했다. 이내 지친 나는 “엄마도 슬퍼지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아들이 말했다. “엄마, 거의 다 왔어. 여기서 포기하지 마”라고.


이런 장면은 상담실에서도 매일 벌어진다. 공부나 일을 중단해야 하나 고민하는 사람들, 관계에서 극심한 갈등을 겪고 있는 이들…. 벼랑 끝에 서서 더 못 버틸 것 같다며 포기하고 싶다고 한다. 포기하고 싶은 것이 일이나 학업, 사람과의 관계라면 차라리 낫다. 종국에는 삶 자체를 포기하고 싶다는 이들을 마주할 때면 상담자도 함께 절망과 무력감에 빠지곤 한다.

알고 보면 그 사람에겐 우리 아들처럼 장점이 꼭 하나는 있고, 가진 것이 생각보다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절망의 안경을 쓰고 있는 사람은 자신이 가진 강점과 자원을 하나도 보지 못하게 마련이다.


상담을 막 시작했을 때는 그들이 하는 절망의 말들을 모두 반박하려고 했다. 그들이 얼마나 많은 강점과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알려주려고 애썼다. 하지만 터널 속에 있는 사람에게 긍정과 희망의 말들은 저 멀리 밖에서 외치는 소리처럼 희미하게 들리는 듯했다. 고개를 들어 희미한 빛을 바라볼 힘이 없어서 바로 눈앞에 짙게 드리운 어둠을 더 믿는 것 같았다.


상담 경력이 조금 쌓인 지금은 더 이해하고 기다려 보려고 한다. 그들이 절망에 이르게 된 궤적을 하나, 하나 같이 되짚어 보며 현재 느끼는 절망에 깊게 공감한다. 그러다 보니 그들 나름대로 노력했지만 의지대로 되지 않았던 일들이 쌓여 결국 암담한 심정에 놓이게 됐다는 점을 이해하게 되었다. 누군가 그 과정을 판단하지 않고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며 함께 안타까워하는 것만으로도 사람은 힘을 얻게 마련이라는 점을 배웠다. 그렇게 깊은 절망을 온전히 공감받고 수용 받은 후에야 사람은 비로소 한 발짝 뗄 힘을 내는 경우가 많았다.


더 중요한 건 기다림이다. 지금 당장은 힘이 들어서 절망의 안경을 벗을 생각도 못 하지만, 잘 먹고 잘 자며 조금 시간을 보내다 보면 저절로 그 안경은 벗겨지기도 한다는 걸 알았다. 그래서 절망에 빠진 사람들에게는 식사를 제때 챙기고, 잠을 제시간에 자는 것에 더 집중하도록 돕는다. 몸이 조금 편안해지면 기운이 나고, 기운이 나면 하루를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무리하게 지고 있는 무거운 짐을 벗게끔 도와주기도 한다.

어쩌면 누군가를 살리는 건 그저 묵묵히 뒤에서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믿으며 기다려주는 한 사람의 존재가 아닐까 점점 더 생각하게 된다. 그런 돌봄 속에서 자신을 잘 돌볼 수 있는 존재는 결국 자기 자신이 된다.
 


사진 <유현숙 임상심리전문가/인지행동치료전문가>

심각한 저출산과 인구감소 문제에 대해 누리꾼들이 우스갯소리로 “있는 사람부터 잘 지키자”라고 하는 말을 보았다. 몇 년 사이 많은 젊은이가 허망하게 목숨을 잃은 사건이 벌어졌고, 소득불균형과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국민 행복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가 이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절대 가볍지 않은 말로 다가온다. 절망과 불행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에게 ‘여기는 낭떠러지가 아니라’고, 떨어져도 쿠션이 있다고 말해줄 수 있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

‘한 아이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처럼 사람 한 명, 한 명과 눈을 맞추며 그들의 절망을 깊이 이해하고 살아갈 힘을 믿어주며 기다려주는 우리 모두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런 안전감과 연대감이 절망에 빠졌을 때 나 자신과 우리 아이들을 살릴 것이라고 믿는다. 

글 유현숙 임상심리전문가(인지행동치료 전문가)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